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671-9940(Print)
ISSN : 2671-9924(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ol.59 No.1 pp.9-18
DOI : https://doi.org/10.3796/KSFOT.2023.59.1.009

Species c 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f ishes collected by set net in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Yong-Deuk LEE, Jae Mook JEONG*, Han Ju KIM
Researcher,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Tongyeong 56034,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emookjeong@korea.kr, Tel:+82-55-650-2251, Fax:+82-55-650-2206
20230207 20230214 20230223

Abstract


Fish samples were collected by a set net from April to December 2020 at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to determine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A total of 330,675 fish (1,032,578 g) representing 56 species belonging to 39 famil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Trachurus japonicus and Trichiuru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98.1%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87.5% of the total biomass collected. E. japonicus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appeared every month off the coast of the Tongyeo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fish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t the dissimilarity level of 57%, and the results of ANOSIM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the two groups.



통영 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이 용득, 정 재묵*, 김 한주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연구원

초록


    서 론

    경상남도 통영 연안 해역은 복잡한 해안선과 많은 도 서지역을 포함하는 남해안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육지 와 도서 주변은 수심이 10 m 미만으로, 잘피밭과 같은 해초지로 구성된 미소서식지가 많아 어류의 은신처 및 성육장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Parrish, 1989;Nakamura and Tsuchiya, 2008;Yoon et al., 2010;Gwak et al., 2016). 뿐만 아니라 이 해역은 쿠로시오 난류의 지류인 쓰시마 난류의 강화로 인해 전 수층이 수온 상승 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계절에 따라 난류 세력이 확장되 면 멸치와 같은 연안성 난류성 부어류들이 통영 주변해 역에 출현한다(Choo, 2002;Seong et al., 2010).

    최근 수온변동이나 연안개발 등의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어류 자원의 회유경로 변화 및 어획량 변동에 영향 을 미치고 있어 어류자원 보호와 관리를 위하여 어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정치망은 연안을 따라 회유하는 어 류의 통로를 길그물로 차단하고 통그물로 유도하여 어 획하는 함정어법에 속하는 어법으로, 대량의 어군이 회 유하는 길목을 선택하고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생산량이 좌우되는 어법이다(Kim et al., 1998). 정치망 어업은 주로 회유성 부어류의 자원변동 연구에 주로 이 용되고 있다.

    이전 정치망에서 어획된 어류 종조성 및 어획량변동에 관한 연구는 동해 남부 연안(Song et al., 2022), 동해 중부 연안(Lee et al., 2021a), 남해(Kim et al., 2013;Jung et al., 2014), 제주(Kim et al., 2014;Lee et al., 2021b) 등에 서 수행되었다. 하지만 통영 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 종조성 및 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 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통영 장도 연안에 설치된 정치망 에서 어획되는 어류상을 파악하고, 월별 종조성 및 양적 변동을 알아보고자 이를 통해 연안에 회유하는 부어류 자원변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는 경남 통영시 인평동 장도 연안(34°51'13"N; 128°21'24"E: Fig. 1)에 설치된 정치망(길이 160 m, 폭 30 m, 길그물 150 m, 수심 7 m)에서 어기인 2020년 4월부터 12월까지 일일어획량으로 환산하기 위해 매월 1회 하루 어획된 어획물의 일부를 랜덤샘플 하였고, 아 이스박스에 냉장 상태로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 센터 측정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조사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해양조 사원 바다누리 해양정보 서비스(http://www.khoa.go.kr/ oceangrid/khoa/koofs.do)의 통영지역 조위관측소에서 측정된 자료 중 어획날짜와 동일한 날짜에 관측된 수온 과 염분자료를 이용하였다. 샘플된 어류는 Kim et al. (2005)에 따라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분류체계 및 학 명은 ‘FishBase’ (Froese and Pauly, 2022)를 따랐다. 분 류된 각 어체의 전장과 갈치 항문장은 0.1 mm까지, 체중 은 1 g까지 측정하였다.

    월별 어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Shannon-Weaver 의 종다양도지수(H′)를 구하였다(Shannon and Weaver, 1949). 통계분석 데이터는 우점종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월별 출현 개체수 자료를 로그변환(log10[x+1])하여 분 석에 이용하였다. 월별 어류 군집의 차이 분석은 Bray and Curtis (1957)의 유사도지수(similarity)를 산출 후, n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분석 및 환 경요인과의 관계를 시각화 하였고, ANOSIM (one-way analysis of similarity) 분석을 통해 군집분석의 결과로 구분되는 월별 어류 군집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 그룹 간의 차이에 기여한 어종을 파악하기 위해 SIMPER (similarity percentages)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R Studio (R Version 4.2.0)에 서 Vegan package (Oksanen et al., 2015)의 ‘metaMDS’, ‘envfit’ 함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ggplot2 package를 사용하여 분석한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결 과

    수온 및 염분 특성

    2020년 4월부터 12월까지 통영 연안의 월별 수온과 염분 변동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Fig. 2). 수온은 12월 에 11.6℃로 가장 낮았고, 8월에 24.3℃로 가장 높았다. 4월부터 8월까지는 점차 상승하다가, 8월부터 12월까지 는 수온이 하락하였다. 염분은 29.2~33.9 psu 범위로, 7~9월에 29.2~30.8 psu 범위로 낮았고, 그 외에는 31.8~33.9 psu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어류 종조성

    통영 연안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39과 56종 330,675 개체가 어획되었다(Table 2). 그 중 망둑어과(Gobiidae), 전갱이과(Carangidae)가 각 4종, 청어과(Clupeidae) 3종 을 차지하였고, 그 외 망상어과(Embiotocidae), 멸치과 (Engraulidae), 쥐노래미과(Hexagrammidae) 등 총 9개의 과가 각 2종, 나머지 12개 과는 각 1종을 차지하였다. 어종별 어획된 개체수는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321,261개체로 전체 개체수의 97.2%를 차지하였고 다 음으로 전갱이(Trachurus japonicus)가 1,831개체(0.6%), 주둥치(Nuchequula nuchalis) 1,564개체(0.5%), 갈치 (Trichiurus japonicus) 1,358개체(0.4%) 순이었다. 생체 량은 멸치가 801,141 g으로 전체 어류 어획량의 77.6% 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전갱이가 57,539 g (5.6%), 갈 치 44,605 g (4.3%), 전어(Konosirus punctatus) 30,045 g (2.9%) 순으로 높았다. 9회 조사 중 6회 이상 어획된 종은 총 12종으로 그 중 멸치,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 가 9회, 망상어(Ditrema temminckii), 복섬(Takifugu niphobles) 이 8회, 전어, 주둥치, 청멸(Thryssa kammalensis)이 7회, 전갱이, 갈치, 인상어(Neoditrema ransonnetii), 학공치 (Hyporhamphus sajori), 열동가리돔(Jaydia lineata)이 6 회 어획되었다. 그 외 5회 미만으로 어획된 어종은 44종 으로 전체 어획 종의 78.6%를 차지하였다. 월별 개체수 와 생체량은 2020년 7월에 174,550개체 583,446 g으로 가장 높았고, 12월에 306개체 8,781 g으로 가장 낮았다 (Fig. 3A, B). 월별 출현 종수는 2020년 4,8월에 28종으 로 가장 많았고, 11월에 13종으로 가장 낮았다(Fig. 3C).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2.0으로 가장 높았고, 7월에 0.005로 가장 낮았다(Fig. 3D).

    월별 군집구조 분석

    조사기간 동안 어획된 어류의 월별 출현량 데이터를 이용해 Bray-Curtis 유사도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크게 2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비모수다차원척도법(NMDS) 으로 분석했을 때 분석 및 환경요인 분석결과 수온이 상승하는 시기인 4, 5, 6, 7월이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A그룹, 수온이 하강하는 시기인 8, 9, 10월이 중앙에서 우측 B그룹으로 구분되었고, 11월, 12월은 그룹으로 구 분되지 않았다. A, B그룹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SIM 분석결과, A그룹과 B그룹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ANOSIM, Global R = 0.833, p < 0.05)(Table 1). 또한 A, B 각 그룹을 구별하는 기여종을 확인하기 위해 SIMPER 분석결과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매퉁이(Saurida undosquamis), 갈치는 8, 9, 10월에 대부분 출현하였고, 청멸은 4, 5월에도 일부 어 획되었으나 98.7%가 8, 9, 10월에 출현하였다. 반면 인 상어는 4, 5, 6, 7월에 대부분 출현해 두 그룹을 구분하는 데 기여도가 높았다(Table 1).

    우점종의 월별 출현량 변화와 길이분포

    개체수에서 우점한 상위 5종(멸치, 전갱이, 주둥치, 갈 치, 청멸)의 월별 출현량 변동을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Fig. 5). 멸치는 매월 출현하였으며, 7월에 173,002개체 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다. 반면 8, 9, 12월에는 200개체 이하로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전갱이의 경우 6월부터 9월까지 평균 456개체가 출현하다 10월, 11월 에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후에는 출현하지 않 았다. 주둥치는 4월에 738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고, 이후 8월까지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갈치와 청멸은 각각 7월과 9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나타났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점종의 전장분포를 보면 가장 많이 채집된 멸치의 경우 전장 3.0~13.4 cm의 범위로 4월에 3.4~10.0 cm, 평균 6.6 cm로 5.0 cm, 9.0 cm 개체의 비중이 높았고 5월에는 5.0~10.7 cm, 평균 7.0 cm로 6.0 cm 개체의 비 중이 높았다. 6월에는 4.4~9.8 cm, 평균 7.4 cm로 9.0 cm 크기의 대형개체 비중이 높아졌다. 7월, 8월에는 각 각 평균 8.1 cm, 9.6 cm로 점차 대형개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9월 4.2~13.4 cm, 10월부터 12월까 지는 평균 6.5 cm의 개체가 출현하였다. 전갱이의 전장 범위는 9.2~24.7 cm로 6월부터 평균 10.5 cm 개체들이 출현하기 시작해 7월 평균 12.0 cm, 8월 평균 15.2 cm, 9월 15.6 cm, 10월, 11월 각각 평균 16.6, 17.0 cm로 증가하였다. 주둥치는 전장범위 5.1~13.5 cm로 4월 평 균 8.4 cm에서 10월 평균 10.8 cm까지 증가하였고, 11월 에는 출현하지 않았다가 12월에 평균 9.1 cm의 개체들 이 출현하였다. 갈치의 항문장은 3.8~25.8 cm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6월부터 11월까지 각각 평균 5.7, 10.2, 14.0, 15.0, 21.0, 23.2 cm로 점차적으로 항문장 길이가 증가하 였다(Fig. 6).

    고 찰

    조사기간 동안 통영 연안의 월별 수온은 12월에 11. 6℃로 가장 낮았고, 8월에 24.3℃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통영 연안에서 수행된 수온 변동 특성(Kim et al., 2016a) 와 유사하였다. 염분의 경우 7~9월에 29.2~30.8 psu 범 위로 낮았는데 이는 강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염분이 낮 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기간 동안 총 39과 56종 330,675개체가 어획되었다. 인근해역 선행 연구인 거제 다포 정치망(Jung et al., 2014)에서는 2011년 36과 46종, 2012년 25과 41종이 출현하였고, 거제 능포 정치망 (Cha, 2009)에서는 2003년 32종, 2004년 38종이 출현하 였다. 이번 조사 지역의 출현 종수와 비교해보면 통영 연안 정치망이 56종으로 더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다. Hwang and Lee (1999)는 수심에 따라서 어류 종조성에 차이가 있으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여름철에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겨울철에 출현 종수가 많다고 보고하였 는데 다포 정치망(Jung et al., 2014)은 17~23 m, 능포 정치망(Cha, 2009)은 30 m 미만에 설치되어 이번 연구 와 출현 종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멸치가 전체 어류 생체량의 77.6%를 차 지하였고, 전갱이가 5.6%, 갈치가 4.3%, 전어 2.9% 순으 로 우점하였다. 인근 해역인 능포에서 수행된 정치망에 서는 전갱이 57.5%, 갈치 12.9%, 멸치 10.6% 순으로 우점하였고, 거제 다포 정치망에서도 개체수에 있어서 전갱이, 멸치가 90% 이상을 차지하여 우점하였다(Cha, 2009;Jung et al., 2014). 따라서 주로 회유성 부어류가 정치망 어구의 특성에 따라 공통 우점종으로 어획된 것 으로 판단된다.

    통영 연안에서 멸치는 매월 출현하였으며, 4~7월에 전체 개체수의 82.8%가 출현하여 가장 많은 개체가 출 현하였고 8, 9, 12월에는 200개체 이하로 어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Ko et al. (2010)은 2009년 5월부터 9월까지 여수, 통영 주변 연안역의 멸치 난자치어 분포 밀도를 조사하였는데, 멸치 난자치어는 통영 남쪽해역과 욕지 도 주변해역에서 난은 750 ind./m2 (5월), 자치어는 통영 주변해역에서 343 ind./m2 (5월), 300 ind./m2 (6월)로 분 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7월에는 조사기간 중 가장 많은 난자치어가 분포했고, 8월에는 5~7월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고 보고하여, 이번 통연 연안 정치망에서 어획된 멸치의 월별 개체수 변동 양상과 일치하였다.

    멸치 전장분포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8월 에는 점차 대형개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9월 4.2~13.4 cm, 10월부터 12월까지는 평균 6.5 cm의 개체가 출현하였는데, Kim and Kang (1992)은 멸치 산란생태 연구를 통해 9월에 12.0 cm 이상 체급에서 산란을 한다고 보고하였고, 작은 개체의 경우 늦봄부터 초여름에 산란에 참여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 4월에 출현한 작은 개 체들과 9월부터 출현한 대형개체의 경우 산란에 참여하 는 개체가 통연 연안에 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갱이의 경우 6월부터 9월까지 평균 456개체가 출현 하다 10월과 11월에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후 에는 출현하지 않았다. Cha et al. (2009)에 따르면 3~7월 에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산란된 전갱이가 주 회유경로 를 통해서 남해 연안으로 가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하여 본 연구에서 6월부터 출현한 전갱이는 최소 체장 8.5 cm로 남해 연안으로 가입한 개체가 관찰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7~11월 전갱이의 평균 체장은 월별로 증가하였다가 11월 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는데, Kim et al. (1994)은 전갱이는 연안의 표층에서 주로 서식하 다가 성장함에 따라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고 하여 12월 에는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의 지역별, 월별 출현량 자료를 분석하여 나누어진 그룹의 SIMPER 분석 결과 삼치는 8~11월까지만 출현하였고, 평균 전장 27.1~40.9 cm로 성장했다. Kim et al. (2016b)은 우리나라 정치망 에서 어획된 삼치의 월별 체장조성을 보면 8월에 가랑이 체장 21 cm의 소형 개체와 함께 30 cm 이하의 신규가입 군이 출현하는데 이는 춘계에 산란되어 성장한 당세어 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출현한 삼치는 춘계에 산란되어 성장한 삼치가 통영 연안으로 가입되 어 11월까지 통영 연안에 출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상어의 경우 4~7월에 전체 개체수의 99.5%가 출현하 였는데 Lee et al. (2018)은 통영 연안에서 잠수관찰을 통해 인상어는 5월부터 관찰되기 시작하고 이후에는 출 산된 10~15 cm의 작은 개체들이 출현한다고 보고하였 다. 이번 연구에서 인상어는 4월부터 평균 전장 14.7 cm 의 개체들이 관찰되기 시작하여 6월에는 11.4 cm, 7월에 는 7.4 cm의 개체들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4월에 성어 개체가 어획되고 이후에는 성어와 출산된 작은 개체들 이 같이 어획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정치망 어획자료 분석을 통해 연안에 내유하는 주요 부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파악하여 연안 수산자원을 관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연구는 2020년 4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통영 연안 정치망에서 어류 종조성과 계절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9과 56종 총 330,675개체 (1,032,578 g)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갈치(Trichuus japonicus) 3종이 전체 개체수의 98.1%, 전체 생체량의 87.5%를 차지하였다. 통영 연안에서 매달 출현한 종은 멸치, 성대(Chelidonichthys Spinosus)였다. 개체수에 따 른 군집분석은 비유사도 57%의 수준에서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ANOSIM 분석 결과 두 그룹 간의 군집 구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 사

    이 논문은 2023년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과학연구사 업(R202300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

    Figure

    KSFOT-59-1-9_F1.gif
    Map of the survey site in Tongyeong, Korea and photographs of set net installed nearby Jang-do Island.
    KSFOT-59-1-9_F2.gif
    Monthly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KSFOT-59-1-9_F3.gif
    Monthly variation of number of individuals (A), biomass (B), number of species (C) and diversity index (D)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fishery in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from April to December 2020.
    KSFOT-59-1-9_F4.gif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plots based on the Bray – Curtis similarities in the biomass of fishes with temperature and salinity by month and group in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KSFOT-59-1-9_F5.gif
    Monthly variations of dominant species in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from April to December 2020.
    KSFOT-59-1-9_F6.gif
    Monthly length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spec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Korea from April to December 2020.

    Table

    ANOSIM and SIMPER results comparing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groups
    A list of species identified from set net at Tongyeong from April to December 2020. N: number of individual, W: wet weight (g), n: frequency of occurrence the fishes

    Reference

    1.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2. Cha BY. 2009. Catch variation of a set net fishing ground in the coastal waters off Neungpo, Goeje Island. J Kor Soc Fish Tech 45, 211-222.
    3. Cha HK , Lee JB , Kang SK , Chang DS and Choi JH. 2009. Reproduction of th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Temminck et Schlegel in the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Korea: Maturation and spawning. J Kor Soc Fish Tech 45, 243-250.
    4. Choo HS. 2002. The variations of oceanic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J Korean Fish Soc 35, 77-85.
    5. Froese R and Pauly D. 2022.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fishbase.org. Accessed 1 Aug 2022.
    6. Gwak WS , Lee SH and Lee YD. 2016. Fish assemblages by SCUBA observations in the water of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8, 100-109.
    7. Hwang HB and Lee TW. 199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ith depth in Asan Bay. Korean J Ichthyol 11, 52-61.
    8. Jung KM , Lee DJ , Kang S and Choi KH.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set-net catches on the coast of Dapo, Geoje Island. Korean J Fish Aquat Sci 47, 997-1005.
    9. Kim H , Song SH , Lee S , Kim JB , Yoo JT and Jang DS. 2013. Dominant causes on the catch fluctuation of a set net fishery in the mid-south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9, 250-260.
    10. Kim MJ , Lee JH , Lee CH and Kim BY.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catc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yudeok, Jeju island. J Kor Soc Fish Tech 50, 407-415.
    11. Kim JY and Kang YJ. 1992. Spawning ecology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5, 331-340.
    12. Kim BK , Lee CR , Lee MO and Kim JK. 2016a.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s around the Tongyeong and Geoje coastal waters by a cluster analysis.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9, 173-184.
    13. Kim H , Lim YN , Song SH and Kim YH. 2016b.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h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using catch distributions. Korean J Fish Aquat Sci 49, 376-384.
    14. Kim HK , Jang CS and Lee SR. 1998. A study on the managemental rationalization of set net. Jour Fish Mar Sci Edu 10, 184-210.
    15. Kim IS , Choi Y , Lee CL , Lee YJ ,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Seoul, 615.
    16. Kim, YU , Kim YM and Kim YS. 1994. Commercial fish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 in Korea. Nat′l Fish Res Dev Agency, Korea, 1-299.
    17. Ko JC , Seo YI , Kim HY , Lee SK , Cha HK and Kim JI.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ggs and larvae of th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Yeosu and Tongyeong coastal waters of Korea. Korean J Ichthyol 22, 256-266.
    18. Lee GM , Lee YD , Park JY and Gwak WS. 2018.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by SCUBA observation in the coastal water of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30, 107-113.
    19. Lee SJ , Yang JH , Seo YI and Kim JK. 2021a. Species composition and assemblage structure of fish collected by set net at the coastal waters of Goseong in Gangwon-do, Korea. Kor J Ichthyol 33, 95-106.
    20. Lee SJ , Han SH and Kim MJ. 2021b.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catc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Sinsan, Jeju Island. J Kor Soc Fish Tech 57, 25-33.
    21. Nakamura Y and Tsuchiya M. 2008.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seagrass habitat use by fishes at the Ryukyu Islands, Japan. Estuar Coast Shelf S 76, 345-356.
    22. Oksanen J , Blanchet FG , Kindt R , Legendre P , Minchin PR , O’Hara RB , Simpson GL , Solymos P , Stevens MHH and Wagner H. 2015.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Retrieved from http://vegan.r-forge.r-project.org. Accessed 1 Feb 2023.
    23. Parrish JD. 1989. Fish communities of interacting shallowwater habitats in tropical oceanic regions. Mar Ecol Prog Ser 58, 143-160.
    24. Seong KT , Hwang JD , Han IS , Go WJ , Suh YS and Lee JY. 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J Korean Soc Mar Env Safety 16, 353-360.
    25.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
    26. Song H , Song YS , Hwang K and Sohn D. 2022.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ith water temperature in set net fishing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Korean J Fish Aquat Sci 55, 625-637.
    27. Yoon KT , Jung YH and Kang RS. 2010. Discuss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on a sub-tidal benthic community composed to the complicated coastal lines around Tongyeong,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32, 123-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