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671-9940(Print)
ISSN : 2671-9924(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ol.60 No.1 pp.1-8
DOI : https://doi.org/10.3796/KSFOT.2024.60.1.001

Carbon emissions monitoring of angling boat for the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Euna YOON, Geunchang PARK1, Yong Beom PYEON2, Wooseok OH3, Kyounghoon LEE4*
Researcher, Fisheries Resource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Tongyeong 53064, Republic of Korea
1Student, Department of Fisheries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2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Fisheries and Ocean Engineering, Busan 48508, Republic of Korea
3Scientist, Institute of Low-Carbon Marine Production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4Professor, Division of marine production system manag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klee71@pknu.ac.kr, Tel: +82-51-629-5889, Fax: +82-51-629-5886
20240125 20240215 2024022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ower consumption of angling boats during entry, departure, and fishing operations using a black box-type storage device. Through this analysis, it determined the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 of small fishing boats used for catching the largehead hairtail. The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 were calculated using formulas provided by the Korea Energy Agency, which incorporated updated emission coefficients from 2022.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of small fishing boats for the largehead hairtail was 546.3 kWh, with a total energy consumption of 0.1164 TOE and carbon emissions of 24.057 CO2. The average energy consumption was calculated at 0.0006 TOE per kilogram, and the carbon emissions were determined to be 0.135 CO2/kg.



갈치 채낚기어선의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윤은아, 박근창1, 편용범2, 오우석3, 이경훈4*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센터 연구사
1부경대학교 수산물리학과 학생
2한국수산해양공학연구소 연구원
3부경대학교 저탄소해양생산기술연구소 연구원
4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교수

초록


    서 론

    소형어선은 선체 길이가 12 m 이상 24 m 미만이며, 총 톤수 10톤 미만의 어선을 말한다(Kim et al., 2009;Choi et al., 2006).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 등록된 전체 어선 수는 64,385척이며, 그중 5톤(51,272척) 이상 10톤 (9,264척) 미만의 어선은 전체 어선의 약 83%를 차지하 고 있다(MOF, 2024). 10톤 미만 어선의 평균 선령은 6년에서 15년 사이이며, 이에 따라 어선의 주요 기간 및 엔진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Han et al., 2022). 어선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관 고장으로 인한 사 고가 증가하고 있으며(MTIS, 2024), 어선의 항해 및 조 업 시 많은 양의 유해물질이 발생 되어 소형어선의 온실 가스 배출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을 18년(727.6백만톤) 대비 약 40% (291.0백만톤) 감축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Korea, 2021), 온실가 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국정과제 개설 및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어선의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연구로는 어선 의 연료 소비량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Lee et al., 2010;Kim et al., 2014;Lee et al., 2014;Lee et al., 2018;Han et al., 2022;Hang. 2022), 양식장에서 발생하 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Kim et al., 2014;Yang et al., 2015), 어선 배출가스 저감 필터 개발(Lee et al., 2014),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Jeong et al., 2012) 등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원인분석 및 저감 방안 대책에 관한 연구 들이 주로 수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어선의 연료 사용량을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이론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전과정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간접적으로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어선 의 항해 및 조업상황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실측치를 구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서는 어선의 항해 및 조업상황을 모니터링 하여 실시간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 및 검증하는 연구 및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형어선의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기 술 개발의 기초 연구로써, 블랙박스형 데이터 저장장치 를 통해 어선의 입·출항 및 조업상황(이동, 조업 준비, 조업)에 대한 어선의 전력소비량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 해 소형어선의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 악하였다.

    재료 및 방법

    10톤 미만의 소형어선의 경우 주로 연근해어업에 종 사하며, 연근해어업 중 하나인 갈치 채낚기어업을 대상 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였다. 또한, 갈치 채낚기 어업의 실시간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전력량계를 사용하여 주요 조업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소비 패턴을 분석하였다 (Fig. 1). 갈치 채낚기어선(수성호, 9.77 ton)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8일부터 6월 23일까지 10회 조사를 진행하 였고(Table 1), 블랙박스형 저장장치에 기록된 GPS 정 보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Fig. 2). 블랙박스 형 저장장치는 GPS 위치 정보, 어선의 자세 정보 및 전력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암호화하여 LTE 통신 장비를 통해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또한, 어선의 전력량 모니터링 장치는 전력 측정 센서 및 전력 량 측정기 모듈로 구성되었다.

    전류측정센서는 Split core current transformer 장치로 공간적 제약과 안전을 위해 비접촉식방식이며,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측정하 였다(Fig. 3).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부는 전류측정센서 의 4채널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SD카드에 저장하는 동시에 LCD 모니터에 출력한다. 전 력측정기는 3상 4선의 디지털 방식을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기기 순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전력량을 이용하여 이동 및 조업 시 어 선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였다. 먼저, 에너지 사용량은 식 (1)과 같이 산출 할 수 있다.

    TOE = Fuel consumption × Calorific Value
    (1)

    여기서, TOE (Ton of equivalent)는 국제에너지기구 (IEA)에서 정한 단위로 석유 환산톤이다. Calorific Value은 발열량이며, 22년 11월 기준 전력량에 대한 국 가 고유 발열량계수 값인 0.213 10-3 toe/kWh을 이용하였 다(EG-TIPS, 2024). 온실가스 배출량은 식 (2)와 식 (3) 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Carbon emissions = Heat Value of Fuel × Carbon emission factor/1,000,000
    (2)

    Carbon dioxide emissions = Carbon emissions × 1,000
    (3)

    여기서, Carbon emissions factor는 탄소배출량 계수 로 22년 11월 기준 전력량에 대한 국가 고유 탄소배출량 계수 값인 0.4403 tCO2/MWh을 이용하였다(EG-TIPS, 2024). 또한, 수협의 어획량 자료를 바탕으로 1 kg 당 전력량을 식 (4)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1 kg 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1 kg 당 전력량 = 전체 에너지 사용량(kWh) ÷ 어획된 어류의 무게(kg)
    (4)

    결과 및 고찰

    갈치 채낚기어선의 입·출항 및 조업에 따른 전력소비 량,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의 실험 결과를 Table 2과 같이 나타내었다. 조사 기간 중 평균 입·출항 시간은 233.8분, 조업 시간은 485.5분, 전력소비량은 546.3 kWh로 나타났다. 일일 조업 시간에 따른 전력소 비량은 모니터링 기간중에서 9회차에 623.2 kWh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7회차에는 253.5 kWh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조업 시간이 많을수록 총 전력소 비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5회차의 경우에는 조업 시간이 가장 많은데도 불구하고 총 전력소비량은 617.1 kWh로, 최대치보다 약 5.9 kWh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조업 시간에 따른 영향도 있지만, 어선의 입·출항 시간에 따른 차이라고 판단된다.

    갈치 채낚기어선에서 측정된 발전기의 전력량을 이용 하여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갈치 채낚기어선의 일일 에너지 사용량 은 0.0540~0.1330 toe로 산정되었으며, 평균 에너지 사 용량은 0.116 toe로 산정되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11.162~27.439 CO2로 산정되었으며, 평균 온실가스 배 출량은 24.058 CO2로 산정되었다. 최근 5년간 통계청 자료를 확인한 결과 갈치 채낚기어선의 평균 조업일수 는 137일이었으며(KOSTAT, 2023), 이 결과를 바탕으 로 본 연구에서는 갈치 채낚기어선의 연간 전력소비량 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갈치 채낚기어선의 연간 총 전력소비량은 74,842 kWh로 나타났으며, 에너 지 사용량은 15.9414 toe, 온실가스 배출량은 32,953.420 CO2로 산정되었다. Bae et al. (2019)의 연구에서 근해채 낚기어선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13년도에 130,400 CO2, 17년도에 140,220 CO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에 비해 선행연구 결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온실가스 배 출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근해 어업과 연안 어업의 조업 위치와 어선의 톤수 차이라고 판단된다. 연안 어업에 비해 근해 어업은 더 먼 바다에서 조업을 하며, 총 톤수 10톤 이상의 어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입· 출항과 조업 시 더 많은 양의 전력과 유류를 사용한다. 따라서, 어선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선의 톤수, 조업 어장의 위치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1 kg 당 에너지 소비량은 0.0002~0.0011 toe로 나타났 으며,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0.0006 toe로 산정되었다. 온 실가스 배출량은 0.050~0.230 CO2/kg로 나타났으며, 평 균 온실가스 배출량은 0.135 CO2/kg로 산정되었다(Table 3). Bae et al. (2019)의 선행연구에서 근해채낚기 어업은 다른 근해 어업에 비해 1 kg당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이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Han et al. (2022)의 연구 에서 나타난 정치망과 죽방렴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본 연구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어선은 채낚 기어선이며, 채낚기어선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 할 수 있는 방안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갈치 채낚기어선의 조업상황(이동, 조업 준비, 조업) 에 따른 주 발전기와 보조 발전기의 전력소비량을 측정 하였다(Table 4, Fig. 4). 주 발전기는 어선의 이동 및 조업 시 사용되었으며, 보조 발전기는 조업 시 집어등을 켤 때 사용되었다. 주 발전기의 이동 시 전력소비량은 6.7~11.8 kWh로 나타났으며, 평균 전력소비량은 9.9 kWh로 나타났다. 조업 시 주 발전기의 전력소비량은 5.1~7.7 kWh로 나타났으며, 평균 전력소비량은 5.9 kWh로 나타났다. 보조 발전기의 전력은 조업 시 집어등 을 가동할 때 나타났으며, 조업 시 보조 발전기의 전력소 비량은 57.9~95.4 kWh, 평균 전력소비량은 71.9 kWh로 나타났다. 주 발전기와 보조 발전기에서는 조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력소비량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주 발전기보다 보조 발전기에서 상대적으로 전력소비량이 높게 나타나는데, 주 발전기의 경우 어선 의 프로펠러와 연결되어 어선의 추진력을 만들어 내는 주 엔진을 보조하는 발전기이며, 보조 발전기는 어선의 발전기와 연결되어 집어등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이 기 때문에 보조 발전기가 주 발전기 보다 더 높은 전력소 비량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Park, 2010;Son et al., 2017). 또한, 소형어선의 전력소비량은 기관 성능에 따 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며, 전력소비량을 파악할 때는 어선의 입·출항 시간과 조업 시간 등 여러 가지 상황들 을 고려해야 한다.

    어선 이동 시, 전력량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은 0.0014~ 0.0025 toe로 나타났으며, 평균 에너지 사용량은 0.0021 toe로 나타났다. 이동 시 온실가스 배출량은 0.298~ 0.520 CO2로 나타났으며,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은 0.4389 CO2로 나타났다. 조업 시 전력량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은 0.0136~0.0216 toe로 나타났으며, 평균 에너지 사용량은 0.0166 toe로 나타났다. 조업 시 온실가스 배출 량은 2.814~4.457 CO2로 나타났으며, 평균 온실가스 배 출량은 3.433 CO2로 나타났다(Table 5). 따라서, 어선의 이동 시기보다 조업 중에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 출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채낚기어선 이 조업 기간 동안 집어등을 사용해 어류를 유집하기 위해 주 발전기뿐만 아니라 보조 발전기까지 동시에 사 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본 논문은 소형어선의 항해 및 조업상황에 따른 실측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블랙박스형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갈치 채낚기어선의 입·출항 및 조 업상황에 따른 전력소비량, 에너지 소비량, 온실가스 배 출량을 분석하였다. 갈치 채낚기어선의 평균 조업 시간 은 485.5분, 평균 전력소비량은 546.3 kWh로 나타났다. 평균 에너지 소비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0.1164 toe, 24.0576 CO2로 산정되었으며, 1 kg 당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0.0006 toe, 온실가스 배출량은 0.135 CO2/kg 로 산정되었다. 갈치 채낚기어선에서 주 발전기의 전력 소비량은 조업 시 5.9 kWh, 이동 시 99.7 kWh로 나타났으 며, 보조 발전기의 전력소비량은 조업 시 719.4 kWh로 나타났다. 연간 총 전력 소비량은 71,019 kWh, 에너지 사용량은 15.0800 toe, 온실가스 배출량은 3,127.540 CO2 로 산정되었다. 갈치 채낚기어선의 전력소비량은 기관 성능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며, 조업 시 전력소비량 은 주 발전기와 보조 발전기의 가동 유무가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어선의 입·출항 및 조업상황에 따른 실측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함에 따라 어선의 온실가스 배 출량과 저감 연구 등에 대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이 논문은 2022년 해양수산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 원 재원으로 AI기반 스마트어업관리시스템 개발 사업 (No. 20210499)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본 논문을 사려 깊게 검토하여 주신 심사워원님들과 편집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Figure

    KSFOT-60-1-1_F1.gif
    Survey vessel and system; a. Angling boat, b. Electric distributor; (A) Fish finder, detecto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B) Fishing lamp (C) Net hauler and winch equipment of floating crane, c. Black box data.
    KSFOT-60-1-1_F2.gif
    Survey area for monitoring of a angling boat (Example: 06.09.2018); (a) Fishing operation using fishing lamps, (b) Fishing lamps for secondary operation.
    KSFOT-60-1-1_F3.gif
    Fishing operation monitoring device; a) Nonintrusive load sensor, b) Cable, c) Electric power monitoring device, d) Internal communication antenna (Bluetooth), (a) Current sensing, (b) A/D Conversion, (c) Controller, (d) Display, (e) Internal communication.
    KSFOT-60-1-1_F4.gif
    Fishing operation monitoring by watt-hour meter; (a) Departure, (b) operate by using a fishing Lamp, (c) Use a fishing lamp for secondary operation, (d) move, and (e) Port of entry.

    Table

    Survey period and time for fishing operation
    Calculating carbon emissions based on power consumption
    Calculating carbon emissions based on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of power consumption of main and auxiliary generators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on power usage during vessel movement and operations

    Reference

    1. Bae J , Yang YS , Kim HY , Hwang BK , Lee CW , Park S and Lee J. 2019. A quantitative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major offshore fisheries.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5, 50-61.
    2. Choi JH , Kim WR , Jang KS and Park JC. 2006. A study for a reduction of machinery damage on fishing vessels. Journal of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21, 51-65.
    3. EG-TIPS.2024. Website on tips, energy. Retrieved from https://tips.energy.or.kr/popup/toe.do on Jan 6.
    4. Han IW , Kim KB , Oh WS , Park GC and Lee KH. 2022. On-site measurement of carbon emissions of set net and bamboo weir fishing boats.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8, 214-222.
    5. Hang JB. 2022. An Optimal Production Analysis of Offshore Fisheries Considering 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Korea Focusing on Large Purse Seine Fishery.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52.
    6. Jeong HC , Kim GY , Lee SB , Lee JS , Lee JH and So KH. 2012.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ropland Sector on Local Government Levels based on 2006 IPCC. J Kor Soil Sci Fert 45, 842-487.
    7. Kim WR , Choung KG and Lee KD. 2009. Researches i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Fishing Vessel. J Kor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26, 47-59.
    8. Kim PS , Kim JH , Son JH , Kim JS , Choi SJ , Park Sk and Park GJ. 2014. A study on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base on the classification of fishing boat. J Climate Change Res 5, 301-311.
    9. Kim JH , Lee K , Lee DG , Park SW and Yang YS. 2014. Estimation of Green-House-Gas emissions from domestic eel farm.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0, 58-66.
    10. Korea.2021. Website on special.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81562 on Jan 11, 2024.
    11. KOSTAT.2023. Website on KOSIS. Retrieved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7&tblId=TX_30701_A000&vw_cd=MT_ZTITLE&list_id=307_30701_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on Jan 13, 2024.
    12. Lee DW , Lee JB , Kim YH and Jung SG. 2010. Calculation of Carbon Dixoide Emissions by South Korea's Fishery Industry. Kor J Fish Aquat Sci 43, 78-82.
    13. Lee KH , Kim SK , Kim SH , Yang YS and Park SW. 2014. Development and efficiency of filter device for the emission reduction from the diesel engine in fishing boat.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0, 50-57.
    14. Lee SD , Koh DK and Jung SH. 2014. A study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ships with training ship HANBADA. JAMET 38, 240-425.
    15. Lee SH , Kim HY , Yang YS and Kang DY. 2018. Comparative study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coastal and offshore gillnet and trap fisheries by field research.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4, 315-323.
    16. MOF.2024. Website on statPortal. Retrieved from https://www.mof.go.kr/statPortal/mobile/commonStatViewTop.do on Jan 6.
    17. MTIS.2024. Website on accRate. Retrieved from https://mtis.komsa.or.kr/ana/accRate. Accessed 6 Jan 2024.
    18. Park HW. 2010. A study on the forecast of marine fuel cell market.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y 34, 1,212-1,221.
    19. Son YK , Choe S , Lee SY , Kim SY and Sul SK. 2017. Application of DC distribution IPS to a 10t Class Fishing Boat. Transactions of Korea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 22, 353-359.
    20. Yang YS , Lim HK , Lee K , Lee DG and Shin HH. 2015. Estimation of Green-House-Gas emissions from domestic aquaculture farm for flounders. J Koran Soc Fish Technol 51, 614-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