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671-9940(Print)
ISSN : 2671-9924(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ol.55 No.2 pp.129-137
DOI : https://doi.org/10.3796/KSFOT.2019.55.2.129

Analysis of the behavior of gray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 on the construction of wind power generators in the sea area around Byeonsan Peninsula, Korea

Gyeom HEO, Doo-Jin HWANG1, Eun-Bi MIN2, Sung-Yong OH3, Jin Woo PARK3, Hyeon-Ok SHIN4*
Student, Department of Fisheries Physic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1Professor, Division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Korea
2Student, Department of Fisheries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Korea
3Researcher, Marine Bio-Resources Research Unit, KIOST, Busan 49111, Korea
4Professor, Division of Marine Production System Manag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Corresponding Author: Shinho@pknu.ac.kr, Tel: +82-51-629-5893, +82-10-3870-6125, Fax: +82-51-629-5886
20190502 20190527 20190527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derwater noise caused by pile driving during marine construction on fish. In this study, the three gray rockfish were released about 1 km away from the construction site of wind power generation on July 18, 2018 and traced using two acoustic telemetry techniques. The behavior of the fish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moving distance, swimming speed and direction of the gray rockfish. In the results of the acoustic tracking using the ship, the rockfish moved about 2.11 km for about two hours at a speed of 0.28 ± 0.14 m/s (0.94 TL/s). The bottom depth of the trajectory of the rockfish was 1.0 ± 0.6 m on aver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rectionality in swimming direction of the gray rockfis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wimming direction and tidal current direction. Moving distance during 5 minutes (5MD) during pile driving and finishing operations between rock surface and bedrock were 0.94-0.96 times (76.0-77.0 m) and 1.81-2.73 times (146.0-219.5 m),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 pile driv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f fish behavior research on underwater noise.



변산반도 주변해역에서 풍력발전기 건설공사에 대한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 )의 행동분석

허겸, 황두진1, 민은비2, 오승용3, 박진우3, 신현옥4*
부경대학교 대학원 수산물리학과 학생
1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교수
2전남대학교 대학원 수산과학과 학생
3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단 연구원
4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교수

초록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6301002466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PN67850

    서 론

    해양 건설 공사 작업에 수반되는 파일 항타 및 air gun 등으로 인해 발생한 수중소음은 어류에게 청각기능 저하 등의 생리학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Hastings and Popper, 2005;McCauley et al., 2003). 이 러한 수중소음에 대한 어류의 반응은 개체별로 다른 특 성을 가지고, 특정개체의 반응은 다른 개체에 적용하기 어렵다(An, 2008).

    수중소음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국 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수행하였으며, 어류의 청각 기관의 특성 및 행동 반응에 대한 연구 등이 있었다 (Park and Yoon, 2017). 국내에서도 해양환경에서 공사 중 발생하는 충격음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및 피해영향범위 예측에 대한 연구 등이 있었으며(Bae et al., 2009;Ha et al., 2012), 그 외에 실내 실험 및 양식장환경에서, 인위적인 수중소음에 대한 금붕어의 행동(An, 2008), 발파 작업 소음에 대한 양식 향어의 행동(Shin, 2000) 및 양식 가물치의 행동에 미치는 파 일작업 소음의 영향(Shin, 1995) 등이 있었다. 수중소 음에 대한 어류의 행동 연구 자료의 수가 적고, 수중소 음에 대한 어류의 반응이 개체마다 다른 이유 등으로 국내의 수중소음에 대한 피해 영향범위 추정은 각 연구 자의 개별적 연구결과로 결정되고 있다(Bae et al., 2009;An, 2008). 이 연구는 수중소음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연구함으로써 수중소음에 대한 어류의 피해 영 향범위 산정 등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수심 이 낮은 암초지대에 주로 서식하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Hilgendorf)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Chyung, 1977). 풍력발전기 건설공사 현장주변에서 방류 한 조피볼락은 음향 텔레메트리 기법을 이용하여 추적하 였으며, 이동거리, 유영속도 및 유영방향 등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행동특성 검토과정에서 유영방향과 조류방 향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파일 항타 작업 중의 행동을 파일 항타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해역

    풍력발전기 건설공사 주변에서의 어류 추적 실험은 2018년 7월 18일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일대의 변산반도 주변해역에서 실시하였다(Fig. 1). 실험어로는 조피볼락 (CGR1~CGR3)을 사용하였으며, 파일 항타 작업이 시작된 직후 풍력발전 기초공사지점(WP1~WP9; Constructing wind power plant 1~9)으로부터 약 1 km 떨어진 지점인 R1(정 점: 35˚27.245´N, 126˚18.678´E, 수심 10.3 m)에서 조 피볼락 3마리를 동시에 방류하였다.

    실험어 태깅 및 방류

    실험어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3 마리를 이용하 였으며, 전장 및 체중은 은 28.5 ~30.5 cm 및 347~462 g이 었다(Table 1). 실험어는 체내 태깅법으로 음향송신기를 부착하였다. 실험어는 마취제(MS-222)를 사용하여 마 취시킨 후 복강을 약 1.2 cm 절개하여 음향송신기를 삽 입하고 봉합하였다. 실험어의 봉합 부위는 요오드로 소 독한 후 수조에서 12시간 이상 회복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음향송신기는 연속형(continuous type) 및 부호형(coded type)을 사용하였으며, 펄스간격은 각 각 1 sec 및 60 sec, 배터리 수명은 각각 약 7일 및 약 90일이었다. 실험 해역의 수심이 10 m 내외이었으므로 압력센서를 부착하지 않았다.

    조피볼락(CGR1~CGR3)은 2018년 7월 18일 3마리를 파일 항타 작업이 시작된 직후 풍력발전 기초공사지점 (WP7; Constructing wind power plant 7)으로부터 약 1 km 떨어진 지점에서 동시에 방류(13시 55분)하여 약 2 시간 동안 행동을 관찰하였다.

    음향추적 장치

    실험어 3마리 중에서 연속형 음향송신기를 태깅한 CGR1은 선박을 이용한 음향 추적방법(Shin et al., 2019)으로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부호형 음향송신기를 태깅한 CGR2 및 CGR3는 배열형 음향수신기를 이용한 음향추적 방법으로 행동을 관찰하였다(Fig. 2).

    선박을 이용한 음향 추적방법은 VR100 수신기(VR100, Vemco, Canada)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선박으로부터 실 험어 까지 거리 및 방향은 VR100 수신기 및 선박의 현측 에 설치한 지향성 수파기 및 나침반을 사용하여 측정하였 으며, 5 min 간격으로 수기로 기록하였다. 선박의 위치는 소형 위치정보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tem) 로 거(GPS855, AscenKorea, Korea)를 사용하여 5 sec 간격으 로 기록하였다. 어류행동 관찰시 선박의 엔진 소음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험어와 약 75~77 m의 거리 를 유지하며 어류를 추적하였다.

    배열형 음향수신기를 이용한 음향 추적방법은 어류통 과식별형 음향수신기(VR2W, Vemco, Canada)를 사용 하는 방법으로, VR2W 수신기는 유효 범위에 있는 음향 송신기의 식별부호, 날짜 및 시간, 압력 등의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동시에 다수의 실험어를 추적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전자해도표시장치(ECDIS;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를 사용하여 실험 어의 방류 지점을 중심으로 19개의 VR2W 수신기를 설 치하였으며, 해저로부터 1 m 상부 지점에 위치할 수 있 도록 하였다(Fig. 3).

    수중소음 측정

    2018년 7월 18일 실험에서 풍력발전 기초공사지점으 로부터 약 700 m 떨어진 지점에 수중음향기록장치 (AUSOMS-mini, AquaSound Inc., Japan)를 설치하여 수 중소음을 측정하였으며, 주파수 범위는 100 Hz ~ 20 kHz, 측정범위는 70 ~ 160 dB (re 1μPa)이었다(Table 2). 수중소음은 파일 항타 작업 중일 때와 파일 항타 작 업이 없을 때를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통계 검증

    조피볼락 CGR1에 대한 유영방향의 방향성 유무는 Rayleigh의 z-test를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검 정하였다. 귀무가설 H0는 ‘유영방향은 360˚ 전 방향으 로 고르게 분포 한다’였다. ai 및 fi는 각각 CGR1의 유영 방향 및 30도 간격의 계급에 대한 발생빈도이다. 5분 간격으로 구한 CGR1의 위치는 선박을 이용한 음향추적 방법으로부터 구한 거리를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또한 유영방향 ai는 30도 간격으로 재추출하였다.

    조피볼락 CGR1의 유영방향과 조류방향간의 상관성 은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조류방향 은 수면 하 5 m층에 유향유속계(RCM9, Aanderaa, Norway)를 계류하여 측정한 값을 사용하여 5분 간격으 로 구하였다.

    결 과

    수중소음 측정

    2018년 7월 18일 측정한 수중소음은 Fig. 4와 같다. 오전 및 오후 작업 중 발생한 수중소음은 140∼147.8 dB/μPa 및 151.3∼158.4 dB/μPa이었으며, 파일 항타 작 업 동안의 수중소음은 159.3∼165 dB/μPa이었다. 오전 및 오후 작업 중 발생한 수중소음은 해상 공사 준비 중의 선박으로부터 발생한 수중소음 및 바지선 등 지원 선박 에서 발생한 소음이었다(Fig. 4).

    2018년 7월 18일 측정한 수중소음의 주파수 특성은 Fig. 5와 같다. 오전 및 오후 작업 중 수중소음은 100~250 Hz 및 500~800 Hz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파일 항타 시에는 50~1500 Hz에서 높게 나타났다(Fig. 5).

    선박을 이용한 음향추적 결과

    선박을 이용한 조피볼락의 행동 추적 결과는 Fig. 6 및 Fig. 7과 같다. 2018년 7월 18일 13:55에 방류한 CGR1 은 14:30까지 약 35분 동안 남쪽 또는 남남동쪽으로 약 0.58 km 이동하였으며, 평균 유영속도는 0.28±0.10 m/s (전장대비 유영속도: 0.92 TL/s), 수심은 10.3~10.5 m이었 다. 14:30~15:05에는 방향을 남동쪽으로 변경하여 약 0.56 km 이동하였으며, 평균 유영속도는 0.27±0.12 m/s (0.90 TL/s), 수심은 10.5~10.9 m이었다. 15:05~15:35에 는 방향을 동쪽으로 변경하여 약 0.60 km 이동하였으며, 평균 유영속도는 약 0.33±0.20 m/s (1.11 TL/s), 수심은 10.9~11.4 m이었다. 15:35~15:55에는 방향을 북동쪽으로 변경하여 약 0.36 km 이동하였으며, 평균 유영속도는 약 0.30±0.14 m/s (1.00 TL/s), 수심은 11.4~11.9 m이었다 (Fig. 6 and Fig. 7).

    풍력발전단지 내에서 방류한 조피볼락은 방류 후 약 2시간 5분 동안 평균 0.28±0.14 m/s (0.94 TL/s)의 속도 로 약 2.11 km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피볼락이 이 동한 궤적의 해저 수심은 평균 11.0±0.6 m이었다.

    조피볼락 CGR1의 5분 동안의 이동거리(5MD; Moved distance during 5 minutes)의 변화는 Fig. 8과 같다. 파일 항타 작업이 없을 때의 5MD는 80.5 m이었으 며, 파일 항타 작업(약 16분) 동안의 5MD는 76.0~77.0 m이었다. 암반층에서 이루어지는 마무리 항타 작업(약 1분) 동안의 5MD는 146.0~219.5 m이었다(Fig. 8).

    해저 면과 암반층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파일 항타 작 업 및 암반층에서 이루어지는 마무리 항타 작업 동안의 5MD는 파일 항타 작업이 없을 때에 비하여 각각 0.94~0.96배(76.0~77.0 m) 및 1.81~2.73배(146.0~219.5 m)이었다.

    실험어의 유영방향의 방향성

    조피볼락 CGR1의 유영방향에 대해 Rayleigh의 z-test 를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검정한 결과 및 유영방 향과 조류방향간의 상관성에 대해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는 Fig. 9와 같다.

    Rayleigh의 z-test 검정 결과, 조피볼락 CGR1의 유영 방향에는 유의한 방향성이 있었으며(n= 24, r= 0.5654, z= 7.6721, z>2.964, reject H0), CGR1의 평균 유영방향 은 119.6˚이었다. 조피볼락 CGR1의 유영방향과 그 때 의 조류방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며(n=24,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0.381, p=0.066, p>=0.05), 조피볼락 CGR1의 유영방향 및 그 때의 조류방향의 평균 값은 각각 119.6˚및 116.8˚이었다(Fig. 9).

    배열형 음향수신기를 이용한 음향 추적결과

    배열형 음향수신기를 이용한 조피볼락의 행동 추적 결과는 Fig. 10과 같다. 2018년 7월 18일 13:55에 어류통 과식별형 음향수신기 배열의 중앙 해수면에서 방류한 조피볼락 CGR2는 14:30까지 약 35분간 다 방향으로 유 영 방향을 바꾸다가 14:30~15:10에는 남동쪽 또는 동남 동쪽으로 방향을 잡아 파일작업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0 m 이내의 원에 체류한 시간은 약 34분이었다.

    조피볼락 CGR3은 14:12까지 약 17분간 유영 방향을 바꾸었으며, 14:12~14:29에는 동쪽 또는 남쪽으로 방향 을 잡아 파일작업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하였다.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0 m 이내의 원에 체류한 시간은 약 18분이었다(Fig. 10).

    고 찰

    Park et al. (1999)의 조피볼락의 청각역치에 대한 연 구결과에서 조피볼락이 가장 지각하기 쉬운 주파수 및 최소 문턱치는 100 Hz 및 90.5 dB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험어로 선정한 조피볼락은 수중소음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어종으로 판단 되고, 이 연구의 방법 및 결과는 향후 청각기능이 약한 다양한 저서어종의 수중소음에 대한 행동변화를 연구하 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의 생태 조사를 위한 방법으로 음향 텔레메트리 기법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Crossin et al., 2017), 이 연구에서는 선박을 이용한 음향추적 및 배열형 음향 수신기를 이용한 음향추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 실험 결과에서 조피볼락 3마리 모두 행동 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파일 항타 작업 중인 위치에서 회피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 다. 두 가지의 방법 중 선박을 이용한 음향추적 방법은 긴 시간 동안 짧은 시간간격으로 세밀하게 어류의 행동 을 분석할 수 있었지만, 오직 1마리만 추적할 수 있어 추적 마리 수에 한계가 있었다. 배열형 음향수신기를 이용한 음향추적에서는 다수의 어류를 동 시간에 추적 할 수 있었지만, 추적 범위의 한계로 인해 장시간의 추적 이 불가능하였다.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보완 함으로써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수중소음 피해기준은 일반적으로 140 dB/μPa 및 수중 배경음과의 차이 20 dB/μPa로 두 가지를 사용 하고 있다(Fisheries Science Institute, 2009). 이 기준은 일본의 Hatakeyama (1996)의 연구결과를 인용한 것으 로, 해산어의 청각역치를 90 dB/μPa~110 dB/μPa, 유치 레벨을 110 dB/μPa~130 dB/μPa, 위협레벨(어류의 행동 에 영향)을 140 dB/μPa~160 dB/μPa, 손상레벨(내장 또 는 부레 등의 파열 발생)을 220 dB/μPa이라고 발표하였 다. 이 연구에서는 파일 항타 작업 위치에서 약 700 m 떨어진 지점에서의 수중소음이 159.3∼165 dB/μPa으로 위협레벨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일 항타 작 업 동안의 소음이 작업이 없을 때보다 약 20 dB/μPa 높게 나타났다. 어류 추적결과에서 암반층 사이에서 이 루어지는 파일 항타 작업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암 반층에서 이루어지는 마무리 항타 작업동안 이동거리가 1.81~2.73배 증가한 결과에서 수중소음이 어류의 행동 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평상시와 비교하여 파일 항타 작업과 마무리 항타 작업동안의 어류의 행동에서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연구에서 파일 항타 소음이 평상시 수중소음 보다 약 36.5 dB/μPa 높은 경우 가물치의 평균 유영속 도가 약 1.4배 높게 나타났으며(Shin, 1995), 발파작업 소음이 평상시 수중소음보다 약 40 dB/μPa 높은 경우 향어의 평균 유영속도가 약 1.6배 높게 나타났다(Shin, 2000). 인위적인 수중소음으로 인하여 어류의 평균 유 영속도가 빨라지는 점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고 판 단된다.

    결 론

    이 연구는 해양 건설 공사 중에 수반되는 파일 항타에 의해 발생하는 수중 소음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 파일 항타 중의 어류의 이동거리, 유영속도 및 방향 등의 행동특성을 항타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분석 하였다. 실험은 2018년 7월 18일 변산반도 주변해역의 풍력발전 기초공사지점 부근에서 실시하였으며, 파일 항타 지점으로부터 약 700 m 거리에서 수중 소음을 측 정하였으며, 약 1 km 떨어진 지점에서 조피볼락 3마리 를 방류하여 2가지의 음향 텔레메트리 기법으로 추적하 여 행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선박을 이용한 음향 추적결과에서 조피볼락은 방류 후 약 2시간 동안 평균 0.28±0.14 m/s (0.94 TL/s)의 속도 로 약 2.11 km 이동하였으며, 조피볼락이 이동한 궤적의 해저 수심은 평균 11.0±0.6 m이었다. 조피볼락의 유영방 향에는 유의한 방향성이 있었으며, 유영방향과 그 때의 조류방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해저 면과 암반층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파일 항타 작업 및 암반층 에서 이루어지는 마무리 항타 작업 동안의 5MD는 파일 항타 작업이 없을 때에 비하여 각각 0.94~0.96배 (76.0~77.0 m) 및 1.81~2.73배(146.0~219.5 m)이었다.

    사 사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 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 다(No. 20163010024660, KIOST project no. PN67850).

    Figure

    KSFOT-55-2-129_F1.gif

    Map showing the study site in the Byeonsan Peninsular, Korea.

    KSFOT-55-2-129_F2.gif

    Acoustic tracking device. (a) is VR100 receiver and hydrophone for acoustic tracking using ship. (b) is VR2W receiver for acoustic tracking with arrayed acoustic receiver.

    KSFOT-55-2-129_F3.gif

    Array of VR2W receivers. VR0~19 were VR2W receivers. R1 was release point. WP was wind power plant.

    KSFOT-55-2-129_F4.gif

    Underwater noise level (dB/μPa). (a) was measured during preparing for work in the morning (ship barge, crane boat). (b) was measured during the after work (various marine vessels). (c) was measured during pile driving.

    KSFOT-55-2-129_F5.gif

    Sound Exposure spectral density (dB/μPa). (a) was measured during preparing for work in the morning (ship barge, crane boat). (b) was measured during the after work (various marine vessels). (c) was measured during pile driving.

    KSFOT-55-2-129_F6.gif

    Horizontal behavior of tracking ship and CGR1. (a) was obtained with a GPS device. (b) was recalculated with the magnetic compass and the signal strength.

    KSFOT-55-2-129_F7.gif

    Depth of the horizontal behavior of CGR1.

    KSFOT-55-2-129_F8.gif

    Movement distance of CGR1 for 5 min.

    KSFOT-55-2-129_F9.gif

    Circular histogram for the (a) swimming direction and (b) tidal current direction.

    KSFOT-55-2-129_F10.gif

    Trajectories (a) CGR2 and (b) CGR3 traced by the arrayed acoustic receivers.

    Table

    The size of the experiment fish and tracking times

    Specifications of underwater acoustic recorder

    Reference

    1. An SY. 2008. Behavioral response of goldfish on anthropogenic underwater sou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1-34.
    2. Bae JW , Park JH and Yoon JR. 2009. Characteristics of impulsive noise of waterfront construction sit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9(9), 928-934.
    3.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Korea, 502-505.
    4. Crossin GT , Heupei MR , Holibrook CM , Hussey NE , Lowerre-Barbieri SK , Nguyen VM , Raby GD and Cooke SJ. 2017. Acoustic telemetry and fisheries management. Ecological Applications 27, 1031-1049.
    5. Hastings, MC and Popper AN. 2005. Effects of sound on fish. California DOT Contract No. 43A0139, 1-80.
    6. Hatakeyama Y. 1996. Hearing ability of fish and response to underwater sound.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Japan 23(3), 73-80.
    7. Fisheries Science Institute.2009. In-land fish farm damage and remuneration amount on sound and vibration by near-by construc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33.
    8. Ha JM , Lee JM , Lee JH , Gu DS and Choi BK. 2012. Prediction of effect zone for marine organisms using distance attenuation equations for oceanic noise. J Ocean Eng Technol 26(2), 14-19.
    9. McCauley RD , Fewtrell J and Popper AN. 2003. High intensity anthropogenic sound damages fish ear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13(1), 638-642.
    10. Park YS , Lee CH , Moon JW , Ahn JY and Seo DO. 1999. Auditory threshold of black rock fish. J Fish Mar Sci Edu 11(1), 88-97.
    11. Park JH and Yoon JR. 2017. Overview of anthropogenic underwater sound effects and sound exposure criteria on fishes. J Korean Soc Fish Technol 53(1), 19-40.
    12. Shin HO. 1995. Effect of dynamite explosion work noise on the behavior of snakehead, Channa argus. J Kor Fish Soc 28(4), 492-502.
    13. Shin HO. 2000. Effect of the filing work noise on behavior of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in the cage of aquaculture. J Kor Fish Soc 33(4), 348-355.
    14. Shin HO , Heo G , Heo MA and Kang KM. 2019. Behavioral analysis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released to the entrance of Jinhae Bay,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5(1), 2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