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용가자미 (Hippoglossoidess pinetorum)는 가자미목 (Pleuronectiformes) 가자미과 (Pleuronect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연안, 발해만 및 동중 국해의 연안에 분포하며 수심 100~250 m의 모래 바닥 이나 개펄 바닥에 서식한다 (NFRDI, 2004). 용가자미의 산란은 겨울부터 이듬해 여름까지 북쪽으로 갈수록 늦 어지며, 산란시 연안에서 산란을 하는 어종이다 (NFRDI, 2004). 먹이생물은 새우류, 오징어류, 소형어 류 등을 섭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05).
2016년의 우리나라 가지미류 업종별 어획량은 연안 자망, 근해자망, 저인망어업의 순으로 높았으며, 우리나 라 동해안 (강원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생산량 기준) 에서는 9,303 M/T의 어획량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자미 류 어획량의 5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동 해안의 가자미류의 어획량 변동은 2004년 어획량 6,668 M/T으로 시작으로 2007년 13,182 M/T으로 큰 폭으로 어획량이 증가하였으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 여 2016년 어획량이 9,303 M/T으로 감소하였다 (KOSIS, 2016). 마찬가지로 동해안에서 어업적으로 중 요한 가자미류인 용가자미에 대한 어획량 변동도 보고 된 자료에 의하면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어획량 변동 이 3,157 M/T에서 2008년 2,408 M/T으로 감소하고 있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NFRDI, 2009). 최근 이러한 어 업적으로 유용한 가자미류의 어획량 감소로 자원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가자미류에 대한 자원생태 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어류의 연령은 성장률과 성장식, 가입연령, 어획개시 연령, 성숙연령, 연령별 성숙도나 포란수 등을 추정하는 데 필요할 뿐 아니라 생물 개체군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수산자원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연구 이다 (Zhang, 2010). 이석은 대구, 넙치, 고등어, 정어리, 장어류, 가자미류 등의 연령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질이며, 이석의 정확한 윤문 판독은 자원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연령분석에 있어 초륜 (first ring) 형성 위치는 연령분석 연구의 시발점으로 초 륜을 잘못 읽으면 판독되는 연령이 계속해서 잘못 계측 되며, 초륜과 허륜을 구분되지 않고 잘못 읽게 되면 연령 분석을 제대로 할 수가 없어 초륜에 대한 검증은 매우 중요하다 (Campana, 2001).
현재까지 국내의 용가자미에 대한 연구 동향을 보면, 자원생태학적 연구로 Choe et al. (1999)의 성장과 성숙 에 관한 연구 이후 Huh and Baeck (2003)의 고리 연안의 용가자미 식성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이외 국외의 용가 자미 연구 동향은 Tominaga et al. (1996)의 연령과 성장, Tominaga et al. (2000)의 용가자미 자어의 이동과 분포, Hiraoka et al. (2005)의 용가자미 유생의 식성, 용가자미 의 유전적 구조 (Xiao et al., 2011; Kojima et al., 2014) 등이 이루어졌다.
반면에 국내 여타의 가자미류에 대한 연구 동향은 참 가자미 (Pleuronectes herzensteini)의 연령과 성장, 성숙 및 산란에 대한 연구 (Choe et al., 1986; Chang et al., 2004; Cha et al., 2006; Lee et al., 2006)가 있으며, 문치 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 어 왔다 (Kang et al., 1985; Huh et al., 2012; Moon and Lee, 1999; Cha et al., 2008; Yang et al., 2012; Lee et al., 2014; Kim et al., 2015; Yang et al., 2017).
현재 국내의 용가자미 연령과 성장에 관한 연구 기준 은 Choe et al. (1999)로서 약 20년 전의 연구 결과이므 로, 본 연구를 통해서 최근 동해안에서 채집된 용가자미 의 이석을 이용하여 연령과 성장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 였다. 또한 용가자미의 생태 변화가 있었는지를 규명함 으로서 최근 동해안에서 감소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용가자미 자원의 평가와 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 적인 과학자료를 제공하여 용가자미 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시 료
본 연구에 사용된 용가자미는 2015년 4월부터 2016년 3월까지 경북 울진, 영덕, 포항 및 경주연안에서 자망으 로 채집된 총 965개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Fig. 1), 미성어 용가자미의 부족으로 2017년 1월과 7월 울진과 포항의 연안자망으로 어획한 시료 144개체를 추가로 구 입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령분석을 위해 사용된 용가자미는 총 714개체로 암 컷 555개체와 수컷 159개체가 분석되었으며 (Table 1), 채집한 시료는 실험실로 운반 후 성별을 구분하여 전장 (total length, TL)은 0.1 cm까지 중량 (body weight, BW) 은 분석저울 (Satorius AG.DE/BP410S, Germany)을 이 용하여 0.1 g까지 측정하였다.
월별 용가자미 생식소숙도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5년 4월에서 2016년 3월까지 암컷과 수컷 각각 548개체, 113개체를 사용하였으며, 미성어 용가자미의 부족으로 추가 구입 한 2017년 1월과 7월의 용가자미는 월별 생식소숙도지 소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생식소의 성숙도는 생식소 크기, 색조, 난의 투명 상태 및 난립의 크기 상태를 육안 으로 관찰한 후, 성숙 단계를 파악하기 위해 미숙 (immature), 중숙 (maturing), 완숙 (mature) 및 방후 (spent)의 4단계로 구분하여 관찰하였다. 생식소의 중량 (gonad weight, GW)은 분석저울 (Satorius AG.DE/BP410S, Germany)을 사용하여 0.01 g까지 측정 하였으며, 생식소숙도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는 다음의 식 (1)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연령형질 분석을 위한 이석 추출은 용가자미의 눈에 서 뒤쪽 부분의 두개골 부분을 절단하여 한 쌍을 추출하 였고, 추출한 이석은 표면에 붙어 있는 이석낭과 이물질 을 제거한 후 50% 알코올에 세척하여 보관하였다.
이석 분석
용가자미의 무안측과 유안측 이석 중 유안측 이석은 장축이 길며, 무안측 이석은 장축의 길이가 유안측에 비해 비교적 짧은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석 분석의 일관성 있는 수치를 얻기 위해 무안측 이석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이석의 윤문 판독이 용이하도록 고운 사포와 거친 사포 두 가지 종류 (sandpaper, 사포곱기 p400, 사포곱기 p1500)로 번 갈아 연마하여 관찰하였으며, 이석의 초륜과 윤문의 위 치를 정확히 판독하기 위해 이석을 Resin과 Hardener를 섞어 포매 건조한 후 절단기 (Bueheler, Isomet 2000; Low speed saw)를 사용하여 절단 한 후 비교하면서 검 증하였다.
윤문 판독은 이석의 투명대에서 불투명대로 이행되는 경계를 윤문으로 판독하였으며, 이석 반경 (otolith radius, OR)과 각 윤문 간의 거리는 실체현미경 (DE/MZ-125, LEICA, German)과 영상분석시스템 (Leopard, Zootoz, Korea)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후 거리 를 측정하였다 (Fig. 2). 이석의 반경은 이석의 중심 초점 (focus)으로부터 이석의 가장자리 중 장축 (long axis)을 기준으로 거리를 mm 단위로 측정하였다. 월별 연역지 수 (Marginal Index, MI)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추가로 구입한 2017년 1월과 7월의 시료는 제외하였으며, 2015 년 4월에서 2016년 3월까지 암컷과 수컷 각각 548개체, 113개체의 이석을 사용했다. 측정된 이석에 나타나는 윤문의 주기성 여부와 형성 시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연 역지수 (Marginal Index, MI)를 다음의 계산식 (2)로 계 산하였다.
여기서, OR은 이석의 반경을 나타내며 rn은 이석의 중심에서 n번째 윤문까지의 거리이다. 암수 간의 전장 분포의 차이는 EXCEL (Microsoft, Redmond, Wa, USA)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test)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용가자미의 전장 (TL)과 이석 반경 (OR)의 관계식과 용가자미의 암수 간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을 각각 분석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공분 산분석 (ANCOVA test)을 이용하였다 (R version 2.10.0, 2010).
성장식 계산
용가자미의 성장은 역계산된 연령별 평균체장을 사용 하여 von Bertalanffy (1938) 성장식을 이용하여 구하였 으며, 성장식에서의 각각의 파라메터는 Walford 정차도 법 (Walford, 1946)으로 추정된 추정값을 EXCEL의 해 찾기 (Solve)를 이용하여 비선형회귀분석방법 (nonlinear regression)에 의해 다음 식 (3)으로 추정하였다.
여기서, Lt는 연령이 t일 때의 체장이고, L∞는 이론적 최대체장, k는 성장계수이며, t0는 체장이 0일 때의 이론 적 연령이다. 추정된 성장식의 성장계수는 과거 선행 연구와 비교하기 위해 성장율지수 (Ф)를 이용하였고 (Munro and Pauly, 1983), 그 식은 다음과 같다.(4)
여기서, k는 성장계수, L∞는 이론적 최대체장이다.
결 과
본 연구에서 분석된 용가자미의 성비 (F/M)는 암컷이 78%, 수컷이 22%로 암컷이 3.5배 정도 높았으며, 용가 자미 암컷의 전장 (TL) 범위는 15.8~38.0 cm로 나타났으 며, 수컷은 13.5~29.5 cm로 나타났다 (Fig. 3). 평균 전장 은 암컷이 25.9 cm, 수컷이 21.2 cm로 나타나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평균 전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one-way ANOVA test, p<0.05). 한편 용가자미의 전장 에 대한 체중의 증가 경향을 보기 위해 전장과 체중간의 관계식은 Fig.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암컷의 관계식은 BW=0.0025TL3.409 (r2=0.9551), 수컷의 전장과 체중과의 관계식은 BW=0.0057TL3.138 (r2=0.9163)으로 나타났다 (ANCOVA test, p<0.05).
용가자미 이석의 투명대에서 불투명대로 이행되는 윤 문이 연령 형질로서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와 윤문 중 위륜 또는 잘못 판독된 윤문을 구별하기 위하여 윤경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암수 모두 윤경의 그룹별 이석 의 반경 (OR)이 커질수록 각각에 형성된 윤경의 반경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 형질로써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Fig. 5).
한편, 윤문의 주기성 출현 여부 및 형성 시기를 확인 하기 위해 연역지수 (M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용 가자미 암컷의 연역지수는 4월에 0.45로 가장 낮았으며, 2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컷의 경우 3월에 0.47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4월에 0.48로 낮게 나 타났으며, 2월에 0.67로 높게 나타났다. 암수 모두 3월과 4월에 가장 낮았고, 2월에 가장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 서 용가자미 윤문의 형성 시기는 연 1회 3~4월임을 확인 하였다 (Fig. 6).
용가자미 암컷의 월별 생식소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 과, 미숙 (immature) 개체는 연중 내내 나타났으며, 4월 에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서서히 감소하여 8월 에 28%의 비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숙 (maturing) 상태의 개체도 마찬가지로 연중 내내 분포하였는데, 4월 에 3%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완숙 (mature) 상태의 개체는 1월에 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후 2월과 3월에 각각 41%와 24%의 비로 나타났으며, 방후 (spent) 개체는 5월과 6월에 각각 6%, 4%로 나타났다 (Fig. 7).
용가자미의 평균 생식소숙도지수 (GSI)는 암컷이 2월 에 49.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1월이 46.21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았던 2월 이후 3월에 26.54로 서서히 감소하여 5월에 가장 낮게 8.89로 나타 나 (Fig. 8), 생식소의 발달과정 및 생식소숙도지수의 월 변화로부터 용가자미의 산란기는 1~3월로 추정되었다.
용가자미 이석의 최초 윤문인 초륜 (first ring : r1)은 초점 (focus)과 초점 주위의 위륜 (false ring)으로 판독되 는 윤의 다음에 나타나는 윤문을 초륜으로 판독하였다 (Fig. 9). 본 연구에서 연령사정의 기준으로 정한 투명대 에서 불투명대로 이행되는 경계가 연 1회 형성되는 주기 성이 있으므로 각 경계까지를 연륜으로 판단하여 연륜 별 평균 윤경을 계산하였다. 초점에서 초륜 (r1)까지의 평균 거리는 암수 각각 0.92 mm와 0.91 mm였으며, 두 번째 윤문 (r2)까지의 거리는 각각 1.56 mm과 1.53 mm, 세 번째 윤문 (r3)까지의 거리는 각각 2.17 mm과 2.13mm이었다 (Table 2).
본 연구에서는 윤문 (rn)과 다음 윤문 (rn+1) 간의 거리 는 Table 3과 같이 나타났다. 초륜 (rn)에서 두 번째 윤문 (r2)의 거리는 암수 각각 평균 0.64 mm와 0.62 mm로 나타났고, 두 번째 윤문 (r2)에서 세 번째 윤문 (r3) 간의 거리는 각각 0.61 mm, 0.59 mm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 화에서 용가자미 이석에 나타나는 윤문이 형성될수록 거리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1~r2의 거 리와 r2~r3의 거리는 비교적 비슷한 윤문 간 거리를 두었 지만, r3의 윤문 형성 후 거리가 일정하게 감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Table 3).
이석경 (OR)과 전장 (TL) 간의 관계식은 암컷은 TL=7.142OR+0.769 (r2=0.793), 수컷은 TL=6.498OR+1.706 (r2=0.652)였으며, 암수 간 관계식의 차이는 없었다 (ANCOVA test, F=2.039, p=0.15) (Fig. 10). 또한 각 연령별 평균 윤경을 이석 반경과 전장 간의 관계식으로부터 역 계산 (Back-calculated)하여 연령별 평균 전장을 역추정 하였다 (Table 4).
또한 연륜으로부터 계산된 연령별 전장을 이용하여 Walford 정차도법 (Walford, 1946)으로 추정된 각각의 매개변수 값들을 사용하여 von Bertalanffy 성장식 (Bertalanffy, 1938)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성장식은 암컷은 Lt=43.59(1-e-0.15(t+0.007)), 수컷은 Lt=28.13(1-e-0.26(t+0.006))이었으며, 암 수 전체는 Lt=48.81(1-e-0.12(t-0.001))였다 (Fig. 11). 성장계 수 (k)는 암컷 0.15/year와 수컷 0.26/year로 산정되었으 며, 이론적 최대전장 (L∞)은 암컷 43.59 cm와 수컷 28.13 cm였다. 체장이 0일 때 이론적 연령 (t0)은 암컷, 수컷 각각 -0.007세와 -0.006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수 전체의 이론적 연령은 0.001세로 나타났다. 그리고 암수 간 추정된 성장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ANCOVA test, F=12.54, p < 0.001).
고 찰
일반적으로 어류의 연령형질로는 비늘, 이석, 척추골, 새개골 등이 형질로 이용되며, 특히 이석은 고령어의 성장이 정체되었을 때도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어 (Choe et al., 1999), 본 연구에서는 용가 자미의 연령을 분석하기 위해 어류의 형질 중 이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선행된 연구 (Tominaga et al., 1996; Choe et al., 1999)와 비교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 윤문 을 판독했던 방식으로 이석 윤문을 투명대에서 불투명 대로 이행되는 경계를 이용하여 판독하였다.
이밖에 투명대에서 불투명대의 경계를 윤문으로 판독 한 사례는 문치가자미 (Solomon et al., 1987; Kim et al., 1991; Kooka et al., 2000; Kim et al., 2015; Yang et al., 2017), 돌가자미 (Jun and Im, 2004), 범가자미 (Jun et al., 1996), 기름가자미 (Lee, 2008; Yang et al., 2012) 등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 에서 투명대에서 불투명대로 이행되는 경계가 윤문으로 판독하기에 명확했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윤문을 판독하기 위해 표면연마 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Tominaga et al. (1996)의 연구 에서 용가자미의 이석은 저연령일 때는 연마를 거치지 않고 판독이 가능하나, 1세 이후의 경우 명확한 윤문을 판독하기 위해 사포로 연마를 하는 것을 추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저연령의 윤문이 고연령의 윤문보다 선 명하게 판독되었으며, 특히 5세 이상의 고연령으로 갈수 록 이석의 구성 성분인 탄산칼슘 (CaCO3)과 기타 유기 물질의 밀집도가 높아 사포로 연마 한 후에 명확히 판독 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용가자미의 산란기는 1~3월이었고 첫 윤문의 형성 시기는 이듬해 3~4월로 1.13년 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1회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석의 윤문 형성 시기는 산란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Choe et al., 1999; Jun and Im, 2004; Lee et al., 2006; Yang et al., 2008; Kim et al., 2015; Lee et al., 2016), 본 연구에서와 같이 산란 시기와 윤문 형성 시기 패턴과 유사하게 Choe et al. (1999) 연구 에서도 해당 연구의 용가자미 산란기인 2~3월에서 이듬 해인 5월인 약 1.25년 후에 첫 윤문인 초륜이 형성된다 고 주장하였다. 반면, Tominaga et al. (1996)의 연구에서 일본 이시가리만산 (Ishikari Bay, 石狩湾) 용가자미는 주 산란기가 6~7월이었고, 최초의 윤문인 초륜 (first ring)의 형성 시기가 3~4월인 것으로 나타나, 산란시기 가 지나고 0.75년 후에 첫 윤문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 다. 이러한 첫 윤문의 형성 시기의 차이는 용가자미의 산란기가 서식환경에 따라 산란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는 것과 저층 트롤로 성숙한 개체들이 머무는 저층을 채집한 방법의 차이인 것이라고 판단된다 (Tominaga et al., 2000).
본 연구에서 용가자미의 연령별로 역계산된 전장의 성장식에서 1세의 전장은 암컷은 7.3 cm, 수컷은 7.6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동해안산 용가자미의 이석을 이용한 Choe et al. (1999)의 연구보다 1세의 전 장이 암수 각각 3.5 cm, 2.0 cm 정도 작았으나, 일본 훗카이도의 이시가리만산 용가자미의 연구보다는 1세 의 전장이 암수 각각 약 1.0 cm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Choe et al. (1999)의 연구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본 연구의 초륜의 위치와 Choe et al. (1999)의 초륜 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판독한 것으로 추정되며, 본 연구 에서의 두 번째 윤문의 거리와 Choe et al. (1999)의 초륜 의 위치 거리가 근접한 것으로 볼 때, Choe et al. (1999) 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판독한 초륜을 판독하지 않 음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된다 (Table 5). 또한 본 연구의 초륜은 Fig. 9에서 보듯이 Tominaga et al. (1996)이 초륜 으로 판독한 것으로 보이는 초점의 테두리와 본 연구에 서 두 번째 윤문으로 판독한 Choe et al. (1999)의 초륜의 사이의 윤문을 초륜으로 판독하였기 때문에 선행 연구 와의 역계산한 전장에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추정된 매개변수 값으로 von Bertalanffy 성장식 을 구하였으며, 추정된 용가자미의 성장식을 이용하여 선행 연구와의 성장율을 비교하였다 (Table 6). 암수의 최대 전장 (L∞)은 각각 43.59 cm, 28.13 cm였으며, 성장 계수는 각각 0.15, 0.26이었다. 선행된 연구와 비교 하였 을 때 Tominaga et al. (1996)의 연구에서 나타난 암수 최대 전장 31.50 cm, 25.10 cm보다 컸으며, Choe et al. (1999)의 연구보다는 암수 각각 약 5 cm 정도 작은 것으 로 나타났다. 성장계수를 비교하면, 모든 연구에서 암컷 의 성장계수가 수컷보다 낮게 나타났고, 암컷은 Tominaga et al. (1996)의 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Choe et al. (1999)의 연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컷은 본 연구에서의 성장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Tominaga et al. (1996)의 연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암컷의 성장율지수 (Ф)는 2.46이고, 수 컷의 성장율지수는 2.31이었으며, 성장율지수는 최대 체장의 크기가 클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Yang et al. (2017)의 연구에서 동해안산 문치가자미 가 남해안산 문치가자미에 비해 성장율이 높았으며, 문 치가자미의 성장은 고위도로 갈수록 성장이 좋은 경향 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바가 있다.
반면, 용가자미의 연구 결과에서 성장율은 문치가자 미의 연구 결과와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서식하는 서식지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차가운 수온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저어류인 대구의 성장율도 위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 며 (Choi et al., 2011), Heo et al. (2015)의 연구에서는 울릉도 및 독도, 통영 근해, 일본 아오모리 (Aomori, 靑 森) 해역, 일본 니가타 (Nikata, 新潟) 해역에 서식하는 불볼락을 비교하였을 때, 통영 해역에 비해 고위도상의 울릉도 및 독도 근해와 니가타현 해역 및 아오모리 해역 에서의 성장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같은 위도상 의 울릉도 및 독도 근해와 니가타현 해역, 아오모리 해역 에서의 성장율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 하였 다. Heo et al. (2015)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울릉 도 및 독도 주변에 서식하는 불볼락이 조사 주변 해역의 낮은 수온으로 인해 어종의 성장율이 타 해역에 비해 높았다고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가자미는 가자미 류 중에서도 연안의 비교적 수심이 깊은 해저에 서식하 는 소형 냉수성 어류이며 (Xiao et al., 2011, Kojima et al., 2014), Tominaga et al. (1996)의 시료 채집 지역이 내만인 것과 이시가리만의 조사 지역이 대부분 50 m 내외인 것과 비교했을 때, 본 연구 해역에서 채집된 용가 자미의 75% 이상이 수심 60 m 이상 해역에서 채집되었 다. 본 대상어종의 주 서식 수심인 100~250 m (Kim et al., 2005)에 가까운 수심에서 채집된 용가자미의 성장 환경이 보다 유리한 조건이었기 때문에 성장율이 상대 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에서 이석 의 윤문 판독은 표면연마법과 절단법으로 검증을 거쳐 비교하며 판독을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판독한 초륜의 거리는 암수 각각 0.92 mm와 0.91 mm으로 Tominaga et al. (1996)의 연구와 Choe et al. (1999)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윤문에서 첫 번째 윤문 판독을 일치시키는 것 과 연령 비교를 위해 수심을 고려한 동일한 채집 방법으 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각 해역의 서식지의 수온, 먹이생물, 저질 환경과 같은 성장에 영향 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 한 것들을 고려해 향후 연구에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7년 7월까지 우리나라 경북 연안에서 채집된 용가자미 714개체의 이석을 이용 하여 연령 및 성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석의 투명대에 서 불투명대로 이행되는 경계를 윤문으로 판독하였고, 윤문은 1년에 한번 3월과 4월 사이에 형성되었다. 주 산란기는 1~3월로 첫 번째 윤문의 형성되는 시기까지 약 1.13년으로 추정되어, 용가자미의 선행 연구인 Choe et al. (1999)의 1.25년을 첫 번째 윤문 형성 시기보다 2개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용가자미 윤문 형성은 암컷이 3∼8개 형성되었으며, 수컷은 3∼6개 형 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석반경 (OR)과 전장 (TL) 간의 관계식은 암컷은 TL=7.142OR+0.769 (r2=0.793)으로 나 타났으며, 수컷은 TL=6.498OR+1.706 (r2=0.652)로 나타 났으며, 암수 간 관계식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문이 처음 형성되는 초륜까지의 거리는 암수 각각 평 균 0.92 mm와 0.91 mm였다. 비선형 회귀방법으로 추정 한 용가자미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을 통해 산출된 이론적 최대 전장 (L∞)은 암컷이 43.59 cm로 Choe et al. (1999)의 연구에서 나타난 46.15 cm보다 작게 나타났 으며, 수컷도 28.13 cm로 Choe et al. (1999)의 연구에서 의 이론적 최대 전장인 31.88 cm보다 작게 나타났다. 암컷의 성장계수 (k)의 값은 0.15/year, 체장이 0 cm일 때 이론적 연령은 -0.007세였다. 수컷은 각각 0.26/year, -0.006세로 나타났으며, 암수 간 추정된 성장식에는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