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671-9940(Print)
ISSN : 2671-9924(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ol.50 No.4 pp.511-519
DOI : https://doi.org/10.3796/KSFT.2014.50.4.511

Simulation of unde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in coastal squid jigging vessel using the LED and metal halide fishing lamp combination

Jae-Hyun BAE*, Heui-Chun AN, MeeKyung KIM, Hae-Hun PARK, Mee-Suk JUNG1
Aquaculture Industry Division,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Gangneung 210-861, Korea
1Department of Nano-optical engineering,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237 Siheung-si, Gyeonggi-do, 429-793, Korea
Corresponding Author : jhbae01@korea.kr, Tel: 82-33-660-8555, Fax: 82-33-661-8514
November 11, 2014 November 26, 2014 November 26, 2014

Abstract


LED와 메탈헬라이드 집어등을 겸용한 연안 오징어채낚기 어선의 수중 방사조도 분포 시뮬레이션

배 재현*, 안 희춘, 김 미경, 박 해훈, 정 미숙1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1한국산업기술대학교 나노광공학과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three-dimensional underwater irradiance using an optical simulation software and to clarify the propriety and operation method under considering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uring lamp and penetrability in the seawater, when we use the light diffuser type 300W high powered LED and the metal halide lamp (MHL) on a coastal squid jigging vessel in the 10-ton class, simultaneously. For their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wavelength in relation to the sea, LED lamp was to be effective in the 1.9-fold at 50 m depth and 2.1-fold at 80 m for underwater irradiance more than MHL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using the LED and MHL combination was rather increased even when reducing total power usage up to 20% depending on the simulation with changing the configuration and lighting angle of the lamp.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an evaluation method of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LED lamp according to adjusting its arrangement and lighting angl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RP-2014-FE-018

    서 론

    집어등은 빛을 이용하여 어업 대상생물을 유집하는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오징어 및 갈치 채낚기 어업, 선망, 들망, 봉수망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연근해 어업에서는 갈치 및 오징어 채낚기 어업에서 가장 많은 집어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집어등 의 광원은 소비전력 1.5 kW의 메탈헬라이드등 (Metal halide lamp, 이하 “메탈등”이라 함)이 이용되고 있다.

    채낚기 어업은 우리나라 연근해의 대표적인 어업으 로 어선 세력은 약 5,000 척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오징 어와 갈치를 주 어획대상으로 하고 있다 (An et al., 2012). 오징어채낚기 어업은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업으 로서 최근에는 유가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어업경영이 매 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유가는 채낚기 어업의 조업 경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10톤 미만인 연안 채낚기어 선은 집어등에 81 kW의 전력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류비 가 어획고의 30~40%에 해당하여 어업경영을 어렵게 하 고 있다 (Bae et al., 2009). 또한, 어선에서 배출되는 온 실 가스는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며 (Driscoll et al., 2010), 집어등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메탈등은 방전등 의 일종으로 광효율은 높으나, 수명이 짧고, 외부 충격에 약해 수시로 교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발광 파장 대역 이 넓고, 집어에 불필요한 영역까지 광이 조사되기 때문 에 에너지 소모가 많으며, 자외선을 방출하여 피부손상 및 시력저하 등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고, 어획물의 선 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ada et al., 2007; Peter, 2009). 최근 이러한 이유로 고유가 및 친환 경 저탄소 생산기술 개발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집어등 의 필요성에 따라 LED (Light Emitting Diode) 등에 관 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ED 집어등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고효율 집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Bae et al. (2009)은 채낚기 어선용 공랭식 LED 집어시스템의 설계 및 성능평가에 서 채낚기용 LED 집어등을 제안하였으며, An et al. (2012)은 갈치채낚기어선을 대상으로 180 W급 LED등 과 메탈등을 겸용한 집어시스템의 어획성능을, An et al. (2013)에서는 LED등과 메탈등을 겸용한 연안 오징어채 낚기 어선의 조업 성능을 보고한 바 있으며, Yamashita et al. (2012)은 메탈등과 LED 집어등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연안 오징어 채낚기 어선의 유류 절감 등 대상 어 종의 행동 반응과 조업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광원의 수중 투과 특성과 관련한 연구로는 Arakawa et al. (1998)은 오징어채낚기어선에서 메탈등의 파장에 따른 방사조도 분포 특성과 오징어 어군의 분포에 대해, Choi (2006)은 집어등 광원으로서 LED 광원을 방사 및 수중 투과 특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메탈등과 복수 조합 에 의한 분광 분포와 수중 투과 특성 (Choi, 2009a)과 분광 방사 특성과 광달거리 및 집어등 운용 방법에 대 해 분석 (Choi, 2009b)하는 등 LED등을 집어등으로써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는 10톤급 연안 오징어채낚기 어선에 최근 개 발된 광확산형 300 W급 고출력 LED 집어등과 기존 메 탈헬라이드 집어등을 함께 사용했을 때 등기구의 배광 특성과 해수의 투과특성을 고려하여 수중방사조도 분 포를 광학 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3차원 분포를 해석하고, 집어등으로써 적정성과 운용 방법을 규명하 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집어등과 같이 다수의 광원이 사용되는 운용 조건에 서 수중 방사조도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사용되 는 광원의 파장분포, 배광분포, 방사출력 등을 파악하 여야 하며, 이를 설치 및 해석 조건에 따라 모델링하고, 해수에 따른 파장별 표면반사, 산란, 흡수 등을 고려하 여 시뮬레이션하여야 된다.

    광원의 파장 및 배광분포

    수중방사조도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메탈등과 LED 등의 배광분포 및 방사조도를 측정하였다.

    광원의 파장분포와 방사출력 (radiance flux)은 적분 구 (LMS-800, JNC Te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 원에서 광을 방사형태를 나타내는 배광분포는 배광시험 기 (GoniLED-150S, JNC Tech)를 이용하였다 (Fig. 1). Fig. 2는 메탈등 1개와 300 W LED등 2개의 파장분포 를 나타낸 것으로 LED 등은 450 nm를 최대 발광 파장 을 가지는 LED chip 과 550 nm에서 최대 방사 파장을 가지는 형광체에 의해 발광되는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 다. 메탈등은 590 nm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지만, 810 nm 이상의 적외선 영역에서도 높은 값이 나타나 전체적으로 전 조사 파장 대역에서 발광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의 투과특성

    광의 해수 투과특성은 해수의 물리적, 환경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Jerlov (1968)는 해수의 광학적 성격을 외양수와 연안수로 나누고 그 특성에 따라 해양의 수형 에 따른 투과율을 제시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 해의 수형을 외양수 수형 Ⅱ의 수중투과율을 적용하였 으며 (Choi, 2006), 파장에 따른 감쇠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Beer-Lambert 식을 이용하였다.

    I λ = I o exp k λ × z k λ = z 1 × ln I o λ I λ

    여기서 I (λ)는 파장 λ의 하층 방사조도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radiation), Io (λ)는 파장 λ의 상층 방사조도 (Intensity of the incident radiation), z는 상층 과 하층의 수심차이 (m), k (λ)는 광학적 수형에서 파 장 λ의 소산계수 (Attenua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며, 소산계수는 빛의 흡수와 산란으로 인한 빛의 감소를 나 타내는 계수이다. 이에 따른 수형Ⅱ의 수심에 따른 감 쇠율 곡선은 Fig. 3과 같다. 수심 10 m에서는 가시광 영역을 제외한 적외선, 자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1% 미 만으로 떨어지며, 수심 50 m에서는 390~540 nm파장에 서 1% 이상의 투과율이, 수심 10 m에서는 410~520 nm 파장에서 0.1% 이상의 투과율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 과를 해석에 반영하였다.

    해수는 온도, 염분, 파장에 따라 빛의 굴절률이 달라 지며, Austin and Halikas (1976)은 이에 따른 굴절률을 제시한 바 있다. 수온 18°C, 염분 33‰인 경우 파장별 굴절률 자료를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Table 3). Table 1-2

    집어등의 배치 및 시뮬레이션

    집어등의 설치 조건은 10 톤 이하 연안 오징어채낚기 어선에 집어등용 설비 전력 기준인 81 kW에 맞추어 1.5 kW 메탈등 54개가 설치된 어선을 기준으로 이와 유사하게 LED등 100개와 메탈등 32개, 총 78 kW가 설 치된 경우와 약 20%의 소비 전력 절약이 가능한 LED 등 100개와 메탈등 24개, 총 66 kW가 설치된 경우를 구분하였다.

    광원의 배치는 동해안의 연안 오징어채낚기 어선을 단순화하여 모델링하고, 선박을 기준으로 메탈등은 선 수에서 선미방향으로 2열로 배치하고, LED등은 메탈 등 위쪽에 2단으로 설치하였으며, 길이는 총 16.5 m 였 다. 흘수선에서 메탈등까지 높이는 2.5 m, 현측에서 안 으로 1.0 m, LED등은 메탈등 위쪽으로 0.5 m 위쪽에 배열하였으며, 등의 간격은 설치길이에 등간 배분하여 배치하였다 (Fig. 4).

    집어등의 수중 방사조도 시뮬레이션은 광원의 설치 조건에 따라 LED 집어등의 투광각 20°, 30°, 45°인 경 우의 수심방향의 횡단면 수중 방사조도 분포와 수심 0 m, 50 m, 80 m에서 수심별 방사조도 분포를 비교 분석 하였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조명광학계 광학 해 석 프로그램인 라이트툴즈 (LightTools 8.1, Synopsys Inc.)를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수심에 따른 방사출력 변화

    공기 중과 달리 해수에서는 광의 파장별 감쇠율이 다 르게 나타나므로 동일한 광원이라고 하더라도 수심에 따라 광원의 파장분포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집어에 사용하는 등기구는 해수의 투과특성과 광원의 파장분 포를 고려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1.5 kW 메탈등의 정격전력에 대한 방사출력 비인 방 사효율은 0.487 W/W이였으며, 메탈등의 외형은 타원 구형으로 광원을 중심으로 전 구면이 발광되며, 반사판 이 없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해수면 위 대기로 비춰지는 광량을 제외한 50%가 해수면에 조사되는 방사출력은 448 W이었다. 300 W LED등 방사효율은 0.3 W/W로 측정되었으며, 메탈등과 비교를 위하여 2대 정격전력 600 W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방사출력은 185.3 W이었 다. 본 계산에서 해수면에 도달하는 광력은 선박의 갑 판에 조사되는 광량을 고려하지 않고, 모두 수면에 도 달한다고 가정하여 방사조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사출력을 기준으로 해수의 수심에 따른 파장 및 방 사출력 변화를 살펴보면 파장별 감쇠율에 따라 자외선 이나 적외선에 가까워질수록 투과하지 못하고 수심 10 m에서도 적외선과 자외선 대역은 거의 0에 가까워져 가 시광 영역만 투과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5A).

    수심 50 m에서는 LED는 2,935 mW, 메탈등은 3,831 mW만 투과하게 되며 광원별 방사출력 차는 23.4%로 감소되었으며 (Fig. 5B), 수심 80 m에서는 LED등은 392 mW, 메탈등은 462 mW가 조사되어 광원의 방사 출력 차는 15.2%로 감소하였다 (Fig. 5C). 각 광원을 1 W라고 하면, 수심 50 m에서 메탈등은 정격전력의 0.22%, LED등의 경우 0.49%가 도달하게 되어 방사출 력은 1.9배였으며, 수심 80 m에서 메탈등은 정격전력 의 0.03%, LED등은 0.065%로 나타나 메탈등의 2.1배 로 나타났다. LED등의 파장분포가 해수로 인한 파장별 감쇠 영향이 메탈등보다 작아 해수투과 특성이 우수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횡단면 수중방사조도 분포

    집어등은 수중에서 조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 라, 대상 생물에 대해 유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 며 따라서 광 반응행동에 적절한 조도분포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광원의 설치 형태에 따른 수중조도분포를 분석하였다.

    Fig. 6A는 메탈등만 사용한 어선의 수심 방향 횡단면 수중방사조도 분포이다. 어선을 중심으로 W형의 배광분 포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유사한 형태의 방사조도 분포 를 유지하는 것이 집어 및 어획성능에 문제가 없을 것으 로 가정하고 효과적인 광원의 설치 조건을 비교하여 보 았다. 소비전력을 81 kW에서 메탈등 32개와 LED등 100 개를 설치하여 78 kW를 사용하면서 LED등의 투광각을 20°, 30°, 45°로 변경한 Fig. 6B, 6C, 6D의 경우 Fig. 6A 보다 모든 수심에서 방사조도가 높았으며, 특히 등방사 조도선의 선저 직하 음역영역 수심과 가장 깊은 수심과 의 수심차가 크게 나타났다. Fig. 6A에서 1.0×10-4 W/m 등방사조도선의 선저 음영 수심은 약 65 m, 가장 깊은 수심은 80 m으로 15 m의 수심차가 났으나, Fig. 6B, 6C, 6D는 선저 음영 수심은 약 75~80 m, 가장 깊은 수심은 약 95~100 m로 약 20 m의 수심차가 났다.

    메탈등 24개와 LED등 100개를 설치 (66 kW)하여 약 20%의 소비전력 감소하며 LED등의 투광각을 20°, 30°, 45°로 변경한 Fig. 6E, 6F, 6G의 경우에도 메탈등 만 사용했을 경우에 비하여 수중방사조도는 높게 나타 났으며, 이는 앞서 분석한 LED등의 수중투과특성에 따 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LED등의 투광각이 커질 수록 등방사강도선의 수심은 깊어졌으며, 수심 50 m 이심에서 등방사조도선의 최고 수심 지점과 선박과 거 리가 80 m까지 등방사조도선의 구배를 보면 Fig. 6A는 완만하게 나타났으나, LED등을 겸용한 경우는 모두 급 한 구배를 보여 방사조도분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 다. 이것은 LED등의 배광패턴으로 인해 투광각에 따른 등수심면의 광 균제도가 상대적으로 메탈등에 비하여 떨어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수심별 수중방사조도 분포

    메탈등과 LED등을 함께 사용하며 소비전력을 20% 줄여 사용하였을 경우 설치 조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 기 위하여 메탈등 24개와 LED등 100개를 배치하고, 투 광각 20°, 30°, 45°인 경우 수심별 수중방사조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해석 영역은 해수면에서는 어선을 중심으 로 120×120 m, 수심 50 m, 80 m에서는 300×300 m 구 역을 분석하였다.

    Fig 7, 8, 9는 수심별 등수심면의 방사조도분포를 나 타내는 것으로 앞서 횡단면에서 나타난 등방사조도면 의 기울기가 심한 현상이 그대로 반영되었다. 해수면에 서는 투광각이 20°인 Fig. 7B는 Fig. 7A에 비하여 방사 조도가 강한 붉은 영역이 작았으며, 7C, 7D와는 유사 한 방사조도 분포를 보였다. 수심 50 m인 Fig. 8에서는 메탈등만 사용한 Fig. 8A에 비하여 붉은 영역이 크고, 그 형태도 변하여 선체로 인한 음영영역이 줄어드는 모 습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수심 80 m인 Fig. 9에 서 더 크게 나타났다.

    Table 3은 광원의 설치 조건에 따른 조사 구간 내 수 심별 평균방사조도, 최대방사조도, 총 방사출력을 나타 낸다. 메탈등의 해수면에서 총 방사출력은 7,447.7 W였 으며 메탈등과 LED등을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 투광각 20°에서 6,669.4 W로 메탈등만 사용한 경우보다 작았 으나 투광각 45°에서는 7,593.1 W로 메탈등만 사용한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LED등의 배광패턴은 부채 꼴 형태로 ±45°의 배광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투광 각이 45°보다 작을 경우 해수면으로 조사되지 않고 대 기로 산란되는 손실로 인하여 방사출력이 낮게 나타났 다. 수심 50 m와 80 m에서는 투광각에 상관없이 메탈 등만 사용한 경우보다 조사 영역의 방사출력이 높게 나 타났다. LED등의 파장분포는 해수의 감쇠율에 따른 영 향이 메탈등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수심이 깊을수록 LED등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방사출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메탈등의 수심 0 m에서 최대 방사조도와 평균 방사 조도의 비는 26.1배로 LED등과 겸용한 투광각 20°, 30°, 45°인 경우 각각 25.4, 26.8, 26.4배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심 50 m에서는 메탈등의 방사조도 비는 9.5배였으나 LED등 겸용한 경우 투광각에 따라 각각 14.5, 15.6, 16.6배로 크게 나타났으며, 수심 80 m에서 는 메탈등의 방사조도 비는 6.2배였으나 LED등과 겸용 한 경우 투광각에 따라 9.4, 10.0, 11.1배로 나타났다. 최대 방사조도와 평균 방사조도의 비가 크다는 것은 조 사영역의 방사조도의 균제도 (uniformity ratio)가 낮다 는 것을 의미하며, LED등의 배광각에 따른 직하조도의 편차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등기구의 렌즈 및 반사판의 설계를 좀 더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메탈등과 LED등과 겸용하여 20% 정도의 에너지를 절약하더라도 수중방사조도는 오히려 증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수중배광분포 의 형태가 차이가 있으므로 메탈등과 유사한 수중배광 분포를 가질 수 있는 설치 조건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으로 판단된다.

    메탈등의 수중배광분포는 많은 시행착오 끝에 현재 의 설치구조와 배광분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ED등 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어구의 형태나 운용방법에 큰 변화 없이 사용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앞으로 메탈등과 LED집어등의 적절한 운용 조건을 찾아낸다면 에너지 절감과 어업인의 기술수용성을 높 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다만 기존 메탈 등의 배광패턴에 비하여 광 균제도가 상대적으로 떨어 지므로 이에 따른 등기구의 배치와 투광각을 적절히 조 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업 중 하나인 채낚기어업에 서 고효율 집어시스템을 적용하여 조업경비를 절감하 기 위하여 LED등과 메탈등을 겸용한 조건에서 수중방 사조도 분포를 해석하여 LED등의 운용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기존 메탈등과 300 W LED등을 함께 사용한 상태에서 수중방사조도 분포 및 수중배광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기존 메탈등과 LED등의 광원 특성을 계측하고, 이를 기준으로 해수의 감쇠율 및 파장별 굴 절율을 적용하여 설치 조건에 따라 광학 해석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집어등 광원으로써 적정 성을 분석하였다.

    새로운 광원의 적용을 위한 앞선 연구사례를 보면 어 장의 해수면 및 수중 조도를 직접 계측하거나, 해수 감 쇠율을 광량에 적용하여 정량적 평가를 하였다. 또는 대상 생물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인간의 시감도가 적용된 조도 (lux)나 광속 (lumen)을 측정하여 에너지 절감과 경제성을 평가하기도 하였다.

    LED등의 수중투과특성이 우수하더라도 대상생물의 광 행동반응을 면밀히 파악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집어 형태가 변하거나 집어 위치가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 상이 발생할 경우 채낚기와 같이 낚시의 위치나 형태의 변경이 곤란할 경우 어획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광에 의한 어획 과정은 많은 변수가 존재하고, 동일 한 광원이라고 하더라도 등기구의 배광 패턴, 설치 형 태에 따라 조업 수심에서 조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해 수의 감쇠 특성, 해상 기상 등 많은 요인이 있다. 그러 나 몇몇 어종이 감지할 수 있는 최저 조도 및 파장에 따른 시감도는 보고된 바 있으나, 집어와 어획 과정에 필요한 적정 광량과 분포에 대한 정량적 자료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기존 메 탈 집어등의 파장분포와 수중방사조도 분포를 기준으 로 LED 등의 운용 방법과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하나 의 방안을 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KSFT-50-511_F1.gif

    Measurement of wavelength and light distribution by goniometer (GoniLED-150S, JNC Tech).

    KSFT-50-511_F2.gif

    Wavelength distribution of 1 metal halide lamp (MHL) and 2 LED lamps.

    KSFT-50-511_F3.gif

    Optical dissipation rate of Jerlov's water type Ⅱ.

    KSFT-50-511_F4.gif

    Installation of a 10-ton coastal jigging vessel model and fish luring lamps layout.

    KSFT-50-511_F5.gif

    Change in the wavelength distribution due to the depth.

    KSFT-50-511_F6.gif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of the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s.

    Irradiance distribution at the surface of the sea.

    KSFT-50-511_F8.gif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at 50m depth.

    KSFT-50-511_F9.gif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at 80m depth.

    Table

    Irradiance transmittance for surface water of water type II (Jerlov, 1968)

    Refractive index (n) based on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case of Temp. 18°C, Salinity 33‰)

    Underwater irradiance distribution of th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s

    Reference

    1. An HC , Choo HD (1993) Fishing efficiency of squid jigging in relation to the variation of fishing lamp power ,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Vol.48; pp.179-186
    2. An HC , Bae BS , Lee KH , Park SW , Bae JH (2012) Operating performance of hair-tail angling vessel using the LED and Metal halide fishing lamp combination , J Kor Soc Fish Tech, Vol.48; pp.337-345(http://dx.doi.org/10.3796/KSFT.2012.48.4.000)
    3. An HC , Bae BS , Lee KH , Park SW , Bae JH (2013) Operating performance of squid jigging vessel using the LED and Metal halide fishing lamp combination , J Kor Soc Fish Tech, Vol.49; pp.395-403(http://dx.doi.org/10.3796/KSFT.2013.49.4.395)
    4. Arakawa H , Choi SJ , Arimoto T , Nakamura Y (1998) Relationship Between Underwater Irradiance and Distribution of Japanese Common Squid Under Fishing Lights of a Squid Jigging Boat , Fisheries Science, Vol.64; pp.553-557
    5. Austin RW , Halikas G (1976) The index of refraction of seawater,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La Jolla, A-32
    6. Bae BS , Jeong EC , Park HH , Chang DS , Yang YS (2008)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to LED light , J Kor Soc Fish Tech, Vol.44; pp.294-303
    7. Bae BS , Park BJ , Jeong EC , Yang YS , Park HH , Chun YY , Chang DS (2009)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fish-luring system using the air-cooled LED lamp for jigging and angling boat , J Kor Soc Fish Tech, Vol.45; pp.85-95
    8. Choi SJ , Arakawa H (2001) Relatonship between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according to the jigging depth of hooks and underwater illumination in squid jigging boat , J Korean Fish Soc, Vol.34; pp.624-632
    9. Choi SJ (2002) Relationship between the boat sizes, light source output for fishing lamps and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in coastal squid jigging fishery of Japan , J Korean Fish Soc, Vol.35; pp.644-653
    10. Choi SJ (2006) Radiation and Underwat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a high-luminance light-emitting diode as the light source for fishing lamps , J Kor Fish Soc, Vol.39; pp.480-486
    11. Choi SJ (2009a) Characteristics of spectral irradianc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and operating method for fishing lamps with combined light source , Kor J Fish Aquat Sci, Vol.42; pp.711-720
    12. Choi SJ (2009b) Spectral irradiance and underwat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a combined high-luminance light-emitting diodes as the light source for fishing lamps , Kor J Fish Aquat Sci, Vol.42; pp.703-710
    13. Driscoll J , Tyedmers P (2010) Fuel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mplications of fisheries management: the case of the new england atlantic herring fishery , Marine Policy, Vol.34; pp.353-359
    14. Inada H , Arimoto T (2007) Trend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ishing light in Japan , J Illum Engng Inst Jpn, Vol.91; pp.205
    15. Jerlov NG (1968) Optical Oceanography, Elsevier, pp.118-119
    16. Peter RB (2009) The impact of light in buildings on human health, pp.118-119
    17. Yamashita Y , Matsushita Y , Azuno T (2012) Catch performance of coastal squid jigging boats using LED panels in combination with metal halide lamps , Fish Res, Vol.113; pp.182-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