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671-9940(Print)
ISSN : 2671-9924(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ol.48 No.4 pp.370-378
DOI : https://doi.org/10.3796/KSFT.2012.48.4.370

탄도만에 서식하는 낙지의 분포 특성

오택윤*, 김주일1, 서영일, 이선길2, 최문성2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1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2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Octopus minor in the Tando Bay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Taeg-Yun OH*, Joo-Il KIM1, Young-Il SEO, Sun-Kil LEE2, Mun-Seung CHOI2
Fisheries Research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Busan 619-705, Korea
1South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Tongyeong 650-943, Korea,
2South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Yeosu 556-823, Korea

Abstra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Octopus minor in the Tando Bay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with conducting surveys from May of 2006 to April of 2007. Surveys were carried out at 20 stations on 2 and 3 tide time in the low speed of high tide at night and conducted during 30minutes (4 times fishing) per station. Catch per unit effort (CPUE) was estimated by total catch per 500hooks at each station. Monthly CPUE showed that they put highest in October, November, April and June at 10.4, 10.5, 9.4 and 7.7 individual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PUE put lowest in January, the coldest month, and August, the hottest month, at 0.2 and 0.3 individuals respectively. As for geographical mantle length distribution, average mantle length ranged from 6.2cm to 7.3cm at stations near the tidal channels (St. 1, 4, 5, 6, 8, 9, 10, 13, 14, 15, 18, 19 and 20), and was smaller than 6.0cm at stations located inside of bay (St. 2, 3, 7, 11, 12 and 17). In term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density, CPUE showed higher than 8.0 at St.4 in Changmaeri, St.8 in Taecheonri, St.13 near Seondo, St.18 in Naeri and St.14 in western part of Tando which are located near the main tidal channels. And distribution density showed low that CPUE was lower than 5.0 individuals at stations located inside of bay (St. 1, 3, 5, 6, 7, 11, 12, 16 and 20). Through the results,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density reflects that distribution of Octopus minor is affected by direction of current and inflow of pollutant from land in direc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bottom composition of tidal flat and distribution of live food are the crucial cause of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ctopus minor. For this reason, it is judged to need additional research on it.

08.오택윤외4.pdf1.30MB

서 론

 탄도만 내 연안어업인에 의해 어획되는 낙지(Octopus minor)는 두족류로서 문어목 문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한국과 일본의 전 연안과 중국 황해와 발해만 등 서부태평양의 난수역에 분포하는 단일 종이다. 서식수심은 조간대에서 수심 150m까지 분포하지만 주로 내만의 갯벌 속에 구명을 파서 생활하고, 팔을 이용하여 게류나 새우, 조개류, 어류 등을 섭이하며 수명은 1∼2년이며, 1년에 평균 200∼300g 까지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FRDI, 1999; Yamamoto, 1942).조간대 갯벌에서 어획된 낙지는 뻘낙지 또는 세발낙지로 불리며 연안 어장 잡는 돌낙지 또는 꽃낙지 보다 선호도 높아 지역 특산품으로 고가에 판매되어 지역 연안어업인의 주요 소득원으로서 Oh et al. (2011)은 탄도만 내에서 낙지를 연평균 300톤 내외를 어획하여 지역 연안어업인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낙지의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국내 연구는Moon (1989)이 경기만 낙지의 형태 및 성장에 대하여, Chang and Kim (2003)은 낙지의 습성 및 행동 특성에 대하여, Kim et al. (2004)은 남해안낙지의 성장과 산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국외에서는 Octopus vulgaris의 자원 성장(Tanaka, 1958), Octopus mimus의 성장 (Cortez et al., 1999), Dosidicus gigas의 연령과 성장 및 개체군 구조 (Arguelles et al., 2001), Octopus vulgaris의 번식 (Hernandez-Garcia et al., 2002) 등에 관한 연구보고가 있다. 그리고 자원 이용과 자원관리에 대해서는 Jung and Kim (2001)의 낙지 연승어장의 해황과 어획변동, Park et al. (2006)의 통발에 대한 낙지의 입망 행동과 어획성능, Oh et al.(2011)의 탄도만 낙지자원의 이용과 관리에 대한 연구가 있지만,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갯벌 어장 중 하나인 탄도만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갯벌 낙지 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원관리 방안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조사 해역 및 어획시험 정점

 한반도의 서해 남부에 위치하는 탄도만은 동쪽은 무안군이 위치하고 북쪽, 남쪽은 임수반도와 무안반도가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에는 선도와 고이도, 증도 등의 섬이 위치하여 만 입구를 가로막고 있는 반 폐쇄만이다 (Fig. 1). 탄도만 내의 낙지분포 밀도를 파악하기위하여 Fig. 1과 같이 썰물 때도 해수가 빠지지 않은 갯골을 제외한 갯벌지역을 20개 정점으로 균등하게 선정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매월 실시한 어획시험조사는 조류의 흐름이 약한 2물 또는 3물 야간 만조 시에 실시하였으며, 매월 조사 시 정점15번에서 다항목 수질측정기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monitor; Yellow Springs, YSI, Model 650, USA)를 이용하여 수질을 측정하였다.

Fig. 1. The research area and experimental fishing station (●) in Tando Bay, Korea.

 조간대 갯벌 지역에서 조업하는 탄도만 낙지연승어업은 밀물 때만 조업을 실시하므로 짧은만조시간 동안 1척이 20개 정점을 조사하기 불가능하여 조사 정점 인접지역의 조업선 4척을 용선하여 각 조업선이 5개 어획정점에서 어획시험을 실시하였다. 어획시험조사시 1번 조사선은 어획시험 정점 1, 2, 4, 8, 9번 정점, 2번 조사선 3, 6, 7, 11, 12번 정점, 3번 조사선은 5, 10, 14, 15, 16번 정점, 4번 조사선은 13, 17, 18, 19, 20번 정점으로 각각 배분하여 동시에 출어하여 각 정점에서 30분 동안 4회씩 연승어획조사를 실시하여 정점별로 낙지 어획량을 산출하였고, 단위노력 당어획량 (CPUE : no. of ind./500hooks)은 어획시험의 어획량을 낚시 500개 당 어획량으로 계산하였다. 시험조사에서 어획된 낙지는 연구실로 운반하여 동장, 중량, 성별 등 생물학적 특성치를 조사하였다. 낙지의 지리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위노력당어획량을 정점별로 분석하였다.

조사용 어구

 낙지의 어획에 사용되고 있는 연승어구는 Fig.2와 같이 모릿줄은 약 200m로 PP재질의 3mm인 줄을 사용하였고 아랫줄은 약 35∼40cm 길이의 경심 (Monofilament)인 0.284mm을 사용하였고, 아랫줄 끝 부분에는 플라스틱으로 코팅한 약 2cm×2cm인 타일을 부착한 아랫줄 약 125개를 40∼45cm 간격으로 모릿줄에 직경 20mm인 원형 뜸과 같이 연결하였고, 모릿줄 양쪽 끝 약10m 안쪽에는 연승을 침강시키기 위하여 중량 약 1.75kg이고, 크기가 19cm×9cm×6cm인 벽돌을 추로 사용하였으며, 모릿줄 양쪽 끝에는 조업시 어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점멸등이 부착된 부자 (스치로폼, 300mm)를 부착하였다. 조업시에는 아랫줄 끝 부분에 부착된 낚시 바늘이 없는 플라스틱 낚시에 고무줄로 미끼인 칠게를 부착하여 조업한다.

Fig. 2. Construction of experimental fishing gear of Octopus minor longline fishery in Tando Bay, Korea.

결과 및 고찰

수온, 염분

 연구기간 동안 탄도만 내의 표층 염분은 29.3∼33.1의 범위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층 수온은 5.2∼30.8 C까지 넓은 범위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 이와 같이 탄도만 내에서 염분 농도가 근해의 염분 농도 보다는 2∼4 낮게 나타나는 것은 지리적으로 반 폐쇄형만으로 하천으로 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과 외부와의 해수 교환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여름철인 7, 8월에 염분이 낮게 나타나는 것이 장마 또는 집중 호우로 유입과 해수 교환이 원활하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표층 수온의 변동 폭이 큰 것은 동계에는 북서쪽에 불어온 찬 바람이 간조시 나타난 갯벌의 지열을 냉각시켜 만조시 유입된 해수온도를 더 낮추는 것으로 판단되고, 하계에는 태양열이 간조시 나타난 갯벌을 가열하여 높아진 지열이 만조시 유입된 해수 온도를 더 높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 Monthly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surface water in Tando Bay.

월별 어획량 변동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매월 실시한 연승 어획시험의 노력량은 Table 1과 같이 920회 어획시험에 115,000개 낚시를 사용하여 총 1,369마리를 어획하였으며, 월별 어획량과 단위노력 당어획량 (CPUE)은 Fig. 4과 같다. 월별 어획량변동은 추계인 10월과 11월에 207미와 211미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춘계인 4월과 6월이 167미와 154미로 높았다. 월별 정점당 CPUE은 추계인 10월과 11월에 10.4미와 10.6미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춘계인 4월과 6월이 9.8미와 7.7로 높았다. 가장 추운 1월과 가장 더운 8월에는 어획량 0.2미와 0.3미로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Jung and Kim (2001) 이 수심10m 내외인 여수 가막만에서 연승어구로 조사하여 보고한 어획실태 결과와 비교했을 때 계절에 따라 어획량 변동이 큰 것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평균 어획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한 수온 17.0∼20.0 C와 염분 33.0∼33.5 범위 보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12.4∼22.5 C와 31.3∼33.1범위로 넓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에서 수온과 염분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는 것은 가막만의 연안어장 보다 탄도만 갯벌 조간대에 형성되는 어장이 하천에서 유입되는 담수와 간조시 갯벌이 대기의 영향을 많아 받기 때문에 수온과 염분의 범위기 넓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처럼 넓은 수온 범위와 넓은 염분 범위에 분포하는 탄도만 낙지는 해황에 따라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따라 멀리 이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온이 낮거나 높은 동계와 하계에는 생존 한계 수온에 이르면 낙지가 갯벌 속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그 곳에서 잠복하기 때문에 어획량이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1. Monthly composition of number of fishing and effort (hook) by Octopus minor longline fishery in Tando Bay from May 2006 to April 2007

Fig. 4. Monthly variations in catch and CPUE (no. of ind./500hooks) by Octopus minor longline fishery in Tando Bay from May 2006 to April 2007.

정점별 어획량 변동

 어획시험기간 동안 정점별 어획노력량은 Table 2와 같으며, 이에 대한 정점별 어획량과 단위노력당어획량 (CPUE)은 Fig. 5와 같다. 정점별 어획량은 4, 8, 13, 14, 18번 정점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100마리 이상 어획하여 CPUE가 8.0마리 이상으로 다른 정점 보다 많이 어획된 것으로 나타났고, 1, 3, 5, 6, 7, 11, 12, 16, 20번 정점에서는 총 60마리 이하로 어획하여 CPUE가 5.0마리 이하로 다른 정점 보다 적게 어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정점별 CPUE은 최소 2.2마리에서 최대 10.2마리로 정점에 따라 약 5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CPUE가 정점 마다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시험조업에 참여한 어업인의 어획 능력에 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10년 탄도만 내에서 연승어업에 종사한 어업인 선발하여기 때문에 어업인의 어획능력에 의한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탄도만 내의 낙지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탄도만 중앙에 위치한 탄도를 중심으로 내만 쪽에 위치한 1, 3, 5, 6, 7, 11, 12, 16, 20번 정점의 조류 흐름이 탄도만 외측에 위치한 정점 보다 흐름이 약하기 때문에 주변 육상에서 발생되어 탄도만에 유입하는 생활 및 축산 오염 물질이 축적 될 가능성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육상에서 유입된 오염 물질의 축적은 낙지의 서식환경이나 먹이생물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 Fishing station composition of number of fishing and effort (hook) by Octopus minor longline fishery in Tando Bay from May 2006 to April 2007

Fig. 5. Fishing station variations in catch and CPUE (no. of ind./500hooks) by Octopus minor longline fishery in Tando Bay from May 2006 to April 2007.

정점별 동장 조성

 어획시험에서 어획된 낙지의 정점별 동장 조성은 Fig. 6과 같고, 낙지의 동장범위는 3.1∼11.6cm (평균 6.3cm)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승에서 어획하는 낙지는 Oh et al. (2011)이 탄도만 주 조수로에서 통발로 어획한 낙지의 평균 동장 8.1cm 보다 작은 개체가 어획되었다. 갯벌 조간대에서 조업하는 탄도만에 연승어업인은 Kim and Kim (2006)이 보고한 생물학적 최소형 (군성숙도 50%에 해당되는 크기) 7.6cm 보다 작은 미성숙 개체를 주로 어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이 결과로 볼 때, 탄도만에 분포하는 낙지는 조간대 갯벌 속에서 부화하여 멀리 이동하지 않고 탄도만 내에서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점별 낙지의 평균 동장을 살펴보면 탄도만 내측에 위치한 2, 3, 7, 11, 12번 정점과 선도 앞갯벌인 17번 정점에서 낙지의 평균 동장은 5.7∼6.0cm 범위로 나타났고, 주 조수로를 따라 조류의 흐름이 원활한 1, 4, 5, 6, 8, 9, 10, 13, 14, 15, 18, 19, 20번 정점에서는 정점별 평균 동장 범위는 6.2∼7.3cm로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정점에 따라 분포하는 개체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은 조류이 흐름이 원활한 해역에 서식하는 낙지는 기초생산량이 풍부하여 먹이생물의 공급 등 서식환경이 양호하여 낙지 개체의 성장이 빠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 6. Fishing station by size-frequency histograms for Octopus minor longline fishery in Tando Bay, Korea.

월별 분포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월별 낙지CPUE 분포는 Fig. 7와 같으며, 5월에는 지도읍 태천리 갯벌인 정점 8에서 17미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면서 동쪽 방향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6월에는 탄도 서쪽 갯벌인 정점 14에서 22 미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북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Monthly Octopus minor Distribution density (no of ind./500 hooks) by longline fishing investigation in Tando Bay.

 7월에는 태천리와 선도 갯벌인 정점 13에서 19의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만 내측에 위치한 정점에서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8월에는 주 조수로 입구에 위치한 일부 정점에서 만 매우 낮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에서 염분 농도가 29.4 이하로 낮게 나타난 7월과 8월에 주 조수로 입구에 위치한 일부 정점에서 만 낙지가 분포하는 것을 보아서 장마나 집중 호우에 의한 저염분 시기에는 외해수와 비교적 해수 교환이 원활한 주 조수로 부근으로 이동하는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Fig. 3에서 해수의 수온이 29.3 C로 아주 높은 8월에는 탄도만 내측의 조간대 갯벌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에는 홀통 위쪽 갯벌인 정점 2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점 1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0월에는 탄도 서쪽 갯벌인 정점 14에서 31마리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도를 중심으로 남서쪽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월에는 해제면 창매리 서쪽 정점인 4번과 내리 갯벌인 18번에서 각각 28마리와 24마리로 높게 나타났으며, 12월에는 태천리와 탄도 중간 갯벌인 9번과 내리갯벌인 18번에서 13마리로 높게 나타났다. 2월에는 4과 17번 정점에서 9마리와 8마리로 만 안쪽에서 위치한 다른 정점보다 정점 보다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월과 4월에는 4번과 18번 정점에서 높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탄도 북서쪽 내만은 비교적 낮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중 수온이 가장 높은 8월과 가장 낮은 1월에는 Jung and Kim (2001)의 연구 보고와 같이 아주 작은 량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도만은 최대 폭이 14km이고, 최대 길이13km로 주 조류로가 잘 발달되어 있고, 주 조류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조간대가 넓게 발달한 것으로 Ryu et al. (1999) 등 이 보고하였듯이 탄도만 조간대 갯벌어장은 다른 일반 해면어장 보다 수온과 염분이 낙지 분포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리적 분포밀도에서는 창매리 4번 정점, 태천리 8번 정점, 선도 부근의 13번 정점, 내리의 18번 정점과 탄도 서쪽의 14번 정점이 다른 정점 보다 분포 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탄도만의 입구에 위치한 정점과 주 조수로 가까이에 위치한 정점으로 만 내측에 위치한 다른 정점 보다는 조류 소통이 원활하여 해수 교환이 원활히 일우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 육상지역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의 영향을 내만쪽 보다 덜 받아 원시 상태의 갯벌이 잘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분포 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탄도만의 낙지분포는 갯벌의 생태계에 따라 보전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됨으로 낙지어장의 저질 특성과 먹이생물 분포량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서해 남부해역인 탄도만 낙지 자원에 대한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조류의 흐림이 약한 2물 또는 3물때의 야간 만조시 20개 어획시험 정점에 대해서 각 30분 동안 4회씩 연승 어획시험을 실시하여 시기별 어획량 변동 및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시기별 어획량 변동을 월별 CPUE로 나타내면 10월 10.4미, 11월 10.5미, 4월 9.4미와 6월7.7미로 높게 나타나고, 가장 추운 1월과 가장 더운 8월에는 0.2미와 0.3미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분포에서는 조류가 들어오고 나가는 주 조수로 가까이 위치한 창매리 4번 정점, 태천리 8번 정점, 선도 부근의 13번 정점, 내리의 18번 정점과 탄도 서쪽의 14번 정점에서 CPUE가 8.0미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고, 비교적 만 내측의 1, 3, 5, 6, 7, 11, 12, 16,  20번 정점에서는 CPUE가 5.0미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위치에 따라 분포밀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조류 흐름과 육상 오염 물질 유입이 낙지의 분포에 직접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갯벌의 저질특성과 먹이생물 분포량 등이 낙지의 분포 특성에 직접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에 따른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과제 (RP-2012·FR-030)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

1.Arguelles J, Rodhouse PG, Villegas P and Castilo G. 2001. Age, growth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jumbo flying squid Dosidicus gigas in Peruvian waters. Fish Res 54, 51-61.
2.Chang DJ and KIM DA. 2003. Characteristics by Behaviour and Habits of the Common Octopus(Octopus minor). J Kor Fish Soc 36, 735-742.
3.Cortez TD, Gonzalez AF and Guerra A. 1999. Growth of Octopus mimus (Cephalopoda, Octopodidae) in wild populations. Fish Res 42, 31-39.
4.Hernandez-Garcia V, Hernandez-Lopez JL and Castro-Hdez JJ. 2002. On the reproduction of Octopusvulgaris off the coast of the Cannry Islands. Fish Res 57, 197-203.
5.Jung JM and Kim DS. 2001. Influence of sea condition on catch fluctuation of long line for common octopus, octopus variddilis,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1). Bull Korean Soc Fish Tech 37, 321-325.
6.Kim DS and KIM J. 2006. Sexual Matur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Octopus minor. J Kor Fish Soc 39, 410-418.
7.Kim ST, Kim JY, Kim JI and Hwang SD. 2004. Growth and spawning of common octopus (Octopus minor) in southern coast of Korea. Proc Symp Fish Sci Soc 2004, 362-363.
8.Moon SH. 1989. A study on the morphology and biology of Octopus minor in Kyoungi bay, Yellow sea. M.S. Thesis, Inha University, Korea.
9.NFRDI. 1999. Commercial Molluscs from the Freshwater and Continetal Shelf in Korea. Kukduck, 1-197.
10.NFRDI. 2008. Fishing Gear of Korea. Hangul Graphics, 1-580.
11.Oh TY, Kim JI, Seo YI, Lee SK, Cho MS, Joo H and Jeong SB. 2011. A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common octopus (Octopus minnor) resources in the Tando bay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7, 18-26
12.Park SW, Kim HY and Cho SK. 2006. Entering behavior and fishing efficiency of common octopus, Octopus minnor to cylindric trap. J Kor Soc Fish Tech 42, 11 -18
13.Ryu SO, You HS, Kim JY, Lee IG and Kim MJ. 1999. Distribution of the surface sediments and transport pattern of suspended matters during winter season in Tando Bay,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486-496.
14.Tanaka J. 1958. On the stock of Octopus vulgaris Lamarck on the east coast of Boso Peninsula, Japan. Bull Jap Soc Sci Fish 24, 603-607.
15.Yamamoto T. 1942. On the ecology of Octous variabilis typicus (Sasaki)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breeding habits. Wenus 12, 9-20.